앙상블 하천유량 예측 기법과 용수 감량공급 기법을 이용한 합천댐의 가뭄 시 운영 방안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ISSN | 1738-2424,2287-6723 |
ISBN |
저자(한글) | 진영규,정태훈,이상호,강신욱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실제의 저수지 운영에는 그에 적합한 저수지 운영 기법과 미래의 유입량 예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저수지 운영 방안은 선형계획법으로 유도한 이산화 용수 감량공급 곡선과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 산정된 용수 감량공급 곡선을 이용한 저수지 운영이다. 이산화 용수 감량공급의 단계는 국내의 가뭄 비상 대응 단계에 따라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구성하여 혼합정수계획법으로 각 단계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감량공급을 실행하는 저수지의 가용수량은 현재의 저수량과 미래 저수지 유입량의 합으로 산정되므로, 미래 저수지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용수 감량공급에 필수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기상 시나리오와 기상청 강우예측 자료를 이용한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을 이용하여 미래 저수지 유입량을 산정하였다. 결정된 용수 감량공급 곡선과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 기법들을 합천댐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최대 물 부족량 및 가뭄 기간 내 전체적인 물 부족량이 과거 기록보다 줄어든 결과를 보였다. 용수 감량공급 곡선을 이용한 저수지 운영 기법을 활용하면, 댐을 운영하는 실무자들이 보다 쉽게 가뭄 시 댐의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0975743629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용수,감량공급,앙상블,하천유량 예측,가뭄,탱크모형,hedging rule,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drought,tank mo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