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mpact of climate anomalies on catastrophic immigrations of Nilaparvata lugens(St?l) in Jiangsu Provi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BAO, Yun-xuan,JIANG, Rong,XIE, Xiao-jin,ZHU, Ye-qin,YANG, Rong-ming,ZHU, 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최근 30년간, 중국 벼멸구의 재난성 전입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뚜렷한 시공간적 변이를 나타냈다. 기후 이상이 벼멸구의 지역성 재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중국 벼멸구의 재난경보 및 그 지역 피해의 방제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1983-2008년 장쑤 성 32개 식물보호구역의 벼멸구 유아등 재료, 1981-2008년 태평양 해수면 온도와 남방진동지수 데이터 및 1983-2008년 장쑤 성 70개 기상관측소 강수와 기온 관측재료 수집을 기반으로, 가오유, 퉁저우와 이싱을 장쑤 성 다양한 벼 생장 지역의 대표적인 측량 지점(그중 가오유는 장화이 벼 지역을 대표, 퉁저우는 장쑤 성 북부 연해 벼 지역을 대표, 이싱은 장쑤 성 남부 벼 지역을 대표)으로 선정하였다. 최근 30년간 태평양 해수온도장, 남방진도, 전입지역 강수와 온도 이상이 장쑤 성 벼멸구 개체발생(genesis) 정도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기후 이상이 해당 지역 벼멸구 재난성 전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1) 적도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지속해서 높은 엘니뇨 사건(El Ni?o events)은 장쑤성 벼멸구 심한 정도이상의 개체발생을 많이 야기하며, 동시에 그 최초 전입 피크가 나타나는 시간과 엘니뇨 사건의 시작단계 사이에는 1-14개월의 지연 시간(lag period)이 존재한다. (2) 남방진동지수(SOI)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는 엘니뇨 사건 발생 그해 혹은 이듬해, 벼멸구는 심한 정도이상의 개체발생을 나타내며 동시에 그 최초 전입 피크가 나타나는 시간은 SOI 마이너스 값 시작단계보다 1-14개월 뒤처져 있다. (3) 장쑤에 상륙하고 영향을 미치는 강한 열대성 선풍이 비교적 많은 라니냐해(La Ni?a years)에도 벼멸구는 심한 정도이상의 개체발생을 나타낸다. (4) 강수가 벼멸구 전입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만, 제한조건이 존재한다; 강수량이 많고 강수일수가 많은 해, 벼멸구의 전입량은 크고 개체발생 정도는 심하다; 6-10월 강수량, 강수일수와 강수 강도를 예보 인자로 하여 벼멸구 개체발생 등급의 회귀방정식을 구축하였으며, 방정식 적합과 시험 보고 효과는 좋다. (5) 여름과 가을 6-10월 지상기온의 이상(abnormal)은 장쑤 성 벼멸구 전입의 개체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며, 가을 온도가 비교적 높은 연도에 장쑤 성 벼멸구는 심한 정도이상의 개체발생을 초래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9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ilaparvata lugens(St?l),Oceanic Nino Index(ONI),Southern Oscillation Index(SOI),El Nino event,climate anomaly,벼멸구,해양 니노 지수(ONI),남방진동지수(SOI),엘니뇨 사건,기후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