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f tropic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tmospheric circulation anomal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bnormal precipitation in Yunnan during rainy seas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ISSN 1009-547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 Jing,WANG, Zhang-gui,HUANG, Rong-hui,CHEN, Xing-rong,CAI, Yi,HUANG, Yong-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윈난(Yunnan) 지역의 32개 일강수량 자료, NCEP/NCAR 월 평균 대기 환류 자료와 ERSST V3b의 해수면 온도 자료를 이용하고, 합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 방법을 이용하여 윈난 우기 강수에 영향을 미치는 태평양-인도양 해수 온도 분포 모드를 연구하였으며, ENSO와 열대 인도양 쌍극자(Indian Ocean Dipole, IOD)가 윈난 우기 강수의 많고 적음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중요성에 대하여 토론하고, 끝으로 태평양-인도양 해온 분포 형태가 윈난 우기 강수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메커니즘을 토론하였다. 연구 결과, 열대 태평양 ENSO와 열대 인도양 IOD는 윈난 우기 강수의 많고 적음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열대 인도양 IOD의 영향이 더욱 중요하였다. 열대 서인도양 해수 온도가 뚜렷하게 높을 때[IOD 정위상(pure positive)], 열대 인도양에서 편동풍이 불고 열대 서인도양에서 저기압성(cyclonic) 이상 환류가 나타났으며 인도양의 온난하고 습한 기류가 북쪽으로 대륙에 유입되었다. 그 다음으로 고원 남쪽으로부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벵골만(Bay of Bengal)에 유입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벵골만 Webtisr의 발전과 벵골만의 온난하고 습한 공기가 중국 윈난 지역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윈난 상공이 수증기 수송(Water vapor flux) 발산대로 되게 하였으며 강수가 적어졌다. 열대 인도양 해수 온도가 비교적 낮고 열대 인도양 동서 해수 온도 기울기가 IOD 역상으로 나타났을 때, 열대 인도양에서는 편동풍이 불지 않았고 벵골만 해구가 강해졌으며 중국 윈난 지역으로의 수증기 수송도 강해졌다. 이로 인하여 윈난 상공은 수증기 수송 수렴대(Convergence zone)로 되었으며 강수가 많아졌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Yunnan,rainy season,precipitation,El Ni?o-Southern Oscillation,Indian Ocean Dipole,윈난,우기,강수,ENSO,인도양 쌍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