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VARIATION IN SURFACE AND THERMOCLINE TEMPERATURE OF THE EASTERN TIMOR SEA FOR THE LAST 30 KA AND ITS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ANG, Xiao-lei,DING, Xu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티모르 해(East Timor Sea)의 인도네시아 트루플로우 유출구에서 시추한 MD98-2172 암석 코어 퇴적물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가지 부유 유공충 종 즉 표층에서 서식하는 Globigerinoides ruber과 수온약층에서 서식하는 Pulleniatina obliquiloculata의 Mg/Ca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30kaBP 이래 동티모르 해 해역의 표층수 온도 및 수온약층 온도를 재구축하였다. 그 결과, 동티모르 해 해역 최후 최대 빙하기 이래의 표층수 온도와 홀로세 초기의 표층수 온도는 최대로 약 4.2℃의 온도차를 보였다. 퇴빙기 동안의 표층수 온도는 두차례 뚜렷한 온도 하강 사건이 있었으며, 각각 영거 드라이아스 사건 및 하인리히 사건1과 대응관계를 보였다. 약 15kaBP 이래의 동티모르 해 표층수 온도는 남극의 대기 온도 기록과 같은 위상의 변화를 보였는데, 이로부터 열대 해역은 고위도 지역의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후 최대 빙하기 이래의 수온약층 온도와 홀로세 초기의 수온약층 온도는 최대로 약 4℃의 온도차를 보였다. 홀로세의 수온약층 온도는 파동적으로 하강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최대 온도 하강폭은 약 3℃였다. 표층수와 아표층수의 온도차는 홀로세에 점차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수온약층의 깊이가 지속적으로 얕아지고 있음을 제시하며 또한 이런 변화는 해수면 상승, 계절풍 활동 및 ENSO의 영향을 받는 인도네시아 트루플로우 아표층 해류의 강화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10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a surface temperature,thermocline water temperature,Indonesian Throughflow,Indo-Pacific warm pool,ENSO,Eastern Timor Sea,표층수 온도,수온약층 온도,인도네시아 트루플로우,인도-태평양 난수풀,ENSO,동티모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