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2010~2011년에 대기 에어로졸을 입경별로 채취하여 산성화와 중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위적 기원의 $NH_4{^+}$ 와 nss- $SO_4{^{2-}}$ 은 일반적으로 $0.7{ sim}1.1{ mu}m$ 의 극미세 입자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황사 시에는 $4.7{ sim}5.8{ mu}m$ 의 조대입자 범위에서도 함께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어 황사와 비황사 간에 서로 다른 분포 패턴을 보였다. nss- $Ca^{2+}$ 과 $NO_3{^-}$ 은 $3.3{ sim}4.7{ mu}m$ 의 조대입자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특히 $NO_3{^-}$ 은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영역에서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었다. 고산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화는 황산과 질산 등 무기산에 의한 영향이 대부분이며, 유기산인 포름산과 아세트산은 1.6~6.4% 정도 산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암모니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이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 물질 중화에 주로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암모니아에 의한 중화는 비황사와 황사 기간 모두 미세입자 영역에서 훨씬 더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나, 탄산칼슘은 조대입자 영역에서 더 큰 중화 기여도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