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칭다오(Qingdao) 바셴둔(Baxiandun)의 쇄설암(clastic rock)에 함유된 미량 원소(trace element)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고, 쇄설암 퇴적 구조 등 방면의 증거를 결합하며 퇴적 환경(sedimentary environment)의 변화에 비교적 민감한 스트론튬(strontium, Sr), 바륨(barium, Ba), 토륨(thorium, Th), 우라늄(Uranium, U), 바나듐(vanadium, V), 니켈(nickel, Ni) 등 미량 원소를 선택하여 지층(stratigraphy)에 함유된 미량 원소 함량 및 미량 원소 비율과 퇴적 환경의 대응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바셴둔 쇄설암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였다. 수평층리(horizontal bedding), 스워시층리(swash bedding), 언덕사층리(hummocky cross bedding)와 오목사층리(swaley cross bedding) 등 침적 구조 및 저탁암(turbidite)의 부마윤회층(Boume Sequences)을 분석한 결과, 쇄설암은 바다에서 근원하여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바셴둔의 쇄설암에 함유된 Sr/Ba(0.42~4.16, 평균값 0.78), Th/U(3.82~6.78, 평균값 4.88), V/(V+Ni)(0.75~0.95, 평균값 0.82)와 미약한 Ce의 부적(-) 이상은 바셴둔의 쇄설암이 환경 복원 조건에서 형성된 바다 쇄설암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라오산(Laoshan)에 침입된 화강암(granite) 그리고 지층 밑부분에 있는 쑤루(Sulu) 고기압-초고기압 지역의 퇴적된 변성대(metamorphic belt)에서 나타난 화강편마암(granite gneiss) 자갈(gravels)로부터 바셴둔의 쇄설암은 중생대(Mesozoic)에서 형성되었으며, 중생대의 바다 지층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해당 쇄설암은 중국 남황해(South Yellow Sea) 분지의 깊은 위치에 대응되는 바다 저층암(turbidite) 지층이 있다는 것을 가리키며 이는 아주 좋은 기름 가스 저장층(oil-gas reservoir)으로서 중국 남황해 바다 지층에서의 기름 가스 탐색에 중요한 지침적 의미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