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이중 최고농도를 보이는 서방형 제제의 약동학/약력학적 분석 : Spline 함수에 의한 비모수적 약동학 분석법의 적용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ISSN 1225-546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유경상,배균섭,장인진,조수헌,신완균,신상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8-01-01
초록 연구배경 : 본 연구는 반감기가 짧은 칼슘차단제인 diltiazem의 개발 중인 서방형 제제를 원형 약물로 하여 이중 peak농도를 보이는 약물의 약동학 분석에 spline 함수와 mixed effect model을 이용한 nonparametric 약동학/약력학 모델 분석법을 검토하였다. 방법 : 12명의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시험제제 90mg 및 180mg 캡슬을 각각 1주 간격으로 경구 투여 후 48시간까지 혈장 농도 및 심전도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DiltiaBem의 혈장 농도는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으며, 심전도 lead II상의 PQ 및 QT 간격의 변화는 AD 변환기와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spline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trapezoidal rule을 이용하여 계산된 파라미터와 비교하였다. 약력학적 파라미터는 nonparametric 방법으로 mixed-effect modeling을 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 90mg 제형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장 농도는 투약 후 3시간 경의 단일 peak와 이후의 monophasic decay 양상을 보였으며, 180mg 제형에서는 각각 투약 직후 및 8시간 경에 이중 peak를 보였다. Spline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trape-zoidal rule을 이용하여 계산한 파라미터와 비슷하였다. 혈중 농도와 PQ 간격의 약동학/약력학 modeling은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는데 그 결과 180mg군에서 keo=4.47 hr-1, slope = $0.0792 ;msec{ cdot}ml/ng,$ intercept=0.358msec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검토한 spline 함수에 의한 nonparametric 약동학 분석과 mixed effect modeling은 각종 서방형제제의 평가, patch 제형의 평가, 약동학적 변이가 큰 약물의 평가, 집단약동학적 평가 및 약물의 약동학/약력학 modeling에 응용이 가능한 연구방법론으로 다양한 약물의 약동학 및 약력학 분석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8030369970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ltiazem,Controlled-release,Spline,Mixed-effect modeling,Pharmacoki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