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variation in depth of sulfate-methane interface in sediments of the northern slope of the South China Sea and its implication for occurring status of methane hydrat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
ISSN | 0253-4193, |
ISBN |
저자(한글) | MENG, Xian-wei,ZHANG, Jun,XIA, Peng,WANG, Xiang-q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해양 퇴적물 내의 황산염-메탄 반응 계면(sulfate-methane interface, SMI)의 심도 변화는 그 밑에 있는 지층 내 메탄 수화물의 존재 상태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남중국해 북부 대륙붕 천연가스 수화물의 잠재적 분포 지층 내의 퇴적물 공극수의 지화학적 자료와 자생 탄산염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의 조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여, 남중국해 북부 대륙붕의 퇴적물 내 SMI 심도의 공간적 변화가 그 아래에 있는 지층 내 메탄 수화물의 존재 상태에 대한 현황을 연구 논의하였다. 그 결과, 남중국해 북부 대륙붕의 퇴적물 내 SMI의 깊이는 서남-동북으로 가면서 점차 얕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이런 경향은 자생 탄산염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에 의해 제시된 메탄 방출량의 증가 경향과 좋은 대응 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남중국해 북부 대륙붕에서 서남--동북으로 가면서 메탄 수화물의 매장 깊이는 점차 옅어졌으며 또한 메탄 수화물의 분해 정도는 증가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23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northern slope of the South China Sea,sulfate-methane interface,released methane flux,occurring status of underlying methane hydrate,남중국해 북부 대륙붕,황산염-메탄 반응 계면,메탄 방출량,메탄 수화물의 존재상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