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cute toxicity of different type pesticide surfactants to Daphnia mag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Xiu-huan,LI, Hua,CHEN, Cheng-yu,LI, Jian-tao,LIU, 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화학품이 수생생물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는 표준 시험 방법으로 39가지 비이온성, 6가지 음이온성과 3가지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surface active agent)가 물벼룩(Daphnia magna)에 대한 급성독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3가지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1427, 1227, C8-10의 급성독성은 모두 맹독수준(virulent level)이며 그 중 1427의 독성이 가장 높고 EC 50 값은 0.97X10 -2 mg·L -1 이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서 Castor oil polyoxyethylene ether, 트윈(Tween) 및 스팬(Span) 유화제(emulsifiers)는 독성이 낮고 alkylphenol ethoxylates과 fatty alcohol-polyoxyethylene ether 계면 활성제의 독성은 높은 편이며 AEO-7과 AEO-5의 독성은 최고 수준에 달하였다. EC 50 값은 각각 0.82와 0.97mg·L -1 이며 해당 계면 활성제의 지용성(fat-soluble)이 클수록 물벼룩에 대한 독성이 더욱 강해지다. 대부분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독성은 중간 정도이지만 NNO는 높은 독성을 나타내고 EC 50 값은 0.17mg·L -1 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9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nionic type,anionic type,cationic type,Daphnia magna,acute toxicity,비이온성,음이온성,양이온성,물벼룩,급성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