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Mei-yun,CHEN, Ke-wei,WANG, Lan-lan,JIA, Cai-juan,XIAN, Ji-dong |
초록 |
본 논문은 Eocanthecona furcellate(Wolff)이 경사무늬밤나비(Spodopteralitura, Fabricius)의 생식 행위에 미치는 간섭 스트레스를 고찰하기 위해, 3종 처리법을 사용하여 해당 간섭 효과를 관찰하였다. 처리 Ⅰ: 2쌍의 경사무늬밤나비 성충+2마리의 Eocanthecona furcellate 암컷 성충; 처리 Ⅱ: 2쌍의 경사무늬밤나비 성충+2마리 Eocanthecona furcellate 수컷 성충+2마리의 경사무늬밤나비의 4령 유충; 처리 Ⅲ: 2쌍의 경사무늬밤나비의 성충을 대조 그룹으로 하였다. 경사무늬밤나비의 성충을 상술한 3종 조건으로 처리하고 산란이 정지할 때까지 사양하였다. 그리고 경사무늬밤나비의 산란 행위를 추적하면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경사무늬밤나비와 Eocanthecona furcellate이 같은 좁은 공간에 있을 때, Eocanthecona furcellate은 경사무늬밤나비의 정상적인 생식활동을 일정하게 간섭하였으며, 경사무늬밤나비는 도망가거나 피하는 조치를 취하여 Eocanthecona furcellate의 간섭에서 벗어났다. Eocanthecona furcellate의 간섭 스트레스를 받아, 경사무늬밤나비의 산란량은 감소하였으며, 처리 Ⅰ 그룹과 처리 Ⅱ 그룹의 평균 산란량이 대조 그룹보다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Eocanthecona furcellate이 경사무늬밤나비의 알 덩어리 수량, 구조, 크기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처리 Ⅰ 그룹과 처리 Ⅱ 그룹에서, 알 덩어리는 주로 하나이거나 두개 였으며, 알 덩어리의 수량이 대조 그룹의 알 덩어리 수량보다 낮았으며, 알 덩어리의 체적도 비교적 작았다. 경사무늬밤나비 알의 공간적 분포로부터 볼 때, 처리 Ⅰ 그룹의 알 덩어리는 주로 산란 둥지의 윗부분에 있었다; 처리 Ⅱ 그룹의 알 덩어리는 주로 산란 둥지의 중상부에 분산되어 있었다; 대조 그룹 경사무늬밤나비의 알 덩어리는 산란 둥지의 각 구역에 모두 분포되었다. Eocanthecona furcellate가 경사무늬밤나비 성충의 산란에 미치는 간섭 스트레스는 뚜렷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