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PAN, Lei,WU, Xiang-wen,CHEN, Xiao,JIANG, Yu-ying,ZENG, Juan,DI, Bao-ping |
초록 |
[목적] 중국 2세대 멸강나방의 되돌아오는 과정과 3세대 멸강나방의 개체군 조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으며, 동북과 화베이(north China) 3세대 멸강나방의 곤충 자원에 관한 문제도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3세대 멸강나방 발생지역의 바람장 동태와 이주 개체군의 행방을 밝히기 위하여, 동북 멸강나방의 여름철 이주한 개체군과 화베이 3세대 멸강나방의 곤충 자원 관계를 확정해야 한다. [기법] 국가기상정보센터의 고공 기상 기록에 근거하여, 동북 지역과 화베이 지역의 여름철 각 위치의 풍향 빈도와 평균 발생 빈도를 통계하였으며, HYSPLIT 플랫폼을 이용하여 동북 지역 멸강나방의 여름철 이주 개체군의 비행 궤적과 낙하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결과] 동북과 화베이 지역 7, 8월의 풍향은 서남풍과 남풍을 주요로 하였는데 그 사이클론이 빈번하게 경계를 넘는 원인으로 하여 풍향은 자주 변하였고, 동북 멸강나방의 여름철 이주한 개체군이 다시 화베이 농작 지역으로 진입하는 데 불리하였다. 이주한 개체군에 대한 궤적 시뮬레이션 결과, 동북 멸강나방의 여름철 개체군이 화베이 지역에 다시 진입하는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즉 더 북쪽의 생존할 수 없는 산 지역에 이주하거나, 바다를 성공적으로 넘지 못하여 사망할 수 있고, 또는 조선반도에 이주하여 현지의 곤충 자원(월동할 수 없음)으로 될 수 있다. 또 일부분은 동북 지역에 체류하여 다음 세대까지 계속하여 작물에 피해를 준 후 기후로 인하여 사망할 수 있으며, 극소수의 풍향 풍속 조건이 적합한 경우에만 허베이(Hebei) 지역에 진입할 수 있었다. [결론] 동북 지역의 여름철 바람장은 동북 멸강나방이 다시 돌아오는 데 불리하였으며, 화베이 지역 3세대 멸강나방의 개체군 조성은 동북 여름철 개체군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고, 동북 지역 이주 현상은 뚜렷한 Pied piper 효과를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