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logenetic analysis and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a Cnaphalocrocis medinalis granulovirus str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ISSN 1674-085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Shan,JIA, Xi-wen,SUN, Shi-feng,PANG, Yi,CHEN, Qi-jin,YANG, K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혹명나방 그래뉼로바이러스(Cnaphalocrocis medinalis granulovirus, CnmeGV)는 1979년에 최초로 중국 벼 해충 혹명나방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 유충에서 분리하였다. 해당 바리러스는 숙주 개체군 내에서 전파될 수 있고 생물 살충체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본 연구는 논밭에서 채집한 혹명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CnmeGV를 성공적으로 증식하였다. 베큘로바이러스(Baculovirus) RNA 중합효소의 두개 서브유닛을 코딩하는 유전자 lef-8, lef-9와 봉입체 유전자 granulin은 베큘로바이러스 시스템 진화 과정에서 매우 보존적이다. PCR 증폭을 통하여 획득한 CnmeGV의 3개 유전자를 이용하여 해당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융합한 후 GenBank의 대응 바이러스 서열과 계통 발육 분석을 수행하였다. UPGMA 진화수 분석 결과, CnmeGV는 GenBank에 수록되지 않은 바이러스였다. 유행병학(epidemiology) 초보적인 조사 결과에 의하면, 광둥성 장먼시 언핑현의 혹명나방 체내에서만 CnmeGV를 발견하였다. 기타 채집 지역인 광저우시 천촌, 후이저우시 완루촌, 후이저우시 신강촌과 후베이성 쳰장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장먼시 언핑현은 CnmeGV를 최초로 발견한 지점으로서 30여년이 지났어도 여전히 CnmeGV 감염에 의해 죽는 혹명나방 유충이 존재한다. 이는 해당 바이러스가 논밭에서 표적 해충을 제어하는 특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6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nmeGV,phylogenetic analysis,epidemiology,CnmeGV,계통 발육 분석,유행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