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Outbreak mechanism of second generation armyworms in northeastern China: A case study in 1978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 Gao,WU, Qiu-lin,WU, Xiang-wen,JIANG, Yu-ying,ZENG, Juan,DI, Bao-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중국 동북 지역으로 이주한 멸강나방의 1세대 번식 후, 새로 우화한 성충은 외부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어떤 년도에는 일부 특수한 날씨때문에 현지에 머물러 있어 현지에서 2세대 개체군을 형성하고 심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1978년이다. 개체군이 머물러 있는 핵심 인자와 대발생 개체군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동북 지역 2세대 멸강나방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때에 방제하는 전제이다. [기법] 동북 3성의 곤충 정황 자료에 근거하고, NCEP/NCAR 재분석 자료와 WRF 모드로 출력한 대기 배경장을 이용하여 1978년 동북 지역의 멸강나방 발생 최고시기의 개체군 동태와 이주 과정에 대해 날마다 분석하였다. [결과] (1) 북부에서 아열대 고기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나방 발생 최고시기에 동북 지역은 주로 서남풍이 유행되었고, 동북 2세대 멸강나방은 남쪽 방향인 관내 화베이 지역까지 이주하지 못하였고 북쪽 방향으로 이주하였다. (2) 그 해, 헤이룽장성(Heilongjiang Province)의 2세대 멸강나방 대발생 과정에서, 곤충 자원은 현지 1세대가 우화 후 현지에 남아있거나 이주한 성충 나방이 다시 헤이룽장으로 되돌아오고 랴오닝성(Liaoning Province)과 지린성(Jilin Province)의 2세대 나방의 이주에 의한 것이다. (3) 나방 발생 최고시기, 헤이룽장성 사이클론(cyclones)의 빈번한 활동, 강한 대류 날씨의 지속성 및 풍부한 강우는 현지 곤충 자원의 체류와 이주한 곤충 자원의 감소 및 체류를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결론] 동북 1세대 멸강나방 이주시기의 서남 강풍과 큰 범위의 폭우는 이주한 개체군과 국경을 넘은 개체군을 산장(Sanjiang) 평원에 집중적으로 체류시켜 대발생 개체군이 형성되게 하였으며, 이는 동북 2세대 멸강나방이 1978년에 헤이룽장성에서 크게 발생한 원인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8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utbreak of armyworm,northeastern China,strong southwesterly,heavy rainfall,멸강나방 발생,중국 동북 지역,서남 강풍,폭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