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U, Dan,CHEN, Guang-cheng,CHEN, Shun-yang,CHEN, Ya-ping,CHEN, Bin,YE, Yong,HOU, Jian-ping |
초록 |
맹그로브 습지 토양은 하나의 잠재적인 온실 가스 배출원이다. 여름철 중국 푸젠(Fujian) 주룽장 하구(Jiulongjiang Estuary)의 Kandelia candel 맹그로브 습지 토양-대기 계면의 3가지 온실 가스의 유동량을 조사하고 또 토양 환경이 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룽장 하구의 맹그로브 토양 내 여름철의 3가지 온실가스 N 2 O, CH 4 와 CO 2 의 유동량은 각각 0.27~2.45, -0.28~341.43μmol/(m 2 ·h)와 -0.49~17.00mmol/(m 2 ·h)이었는데, 이는 주룽장 하구의 여름철 맹그로브 토양 전체가 온실가스의 배출원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3가지 온실가스의 평균 유동량 및 그 온도 증가 잠재력에 근거하여 그것들의 CO 2 당량 유동량(equivalent fluxes)을 계산함으로써 3가지 온실가스가 산생한 온도 증가 효익을 반영하였다. 계산 결과, 주룽장 하구의 맹그로브 내 여름철 토양에서 배출된 온실가스 CO 2 의 당량 유동량은 82.33~674.92mg/(m 2 ·h)이었으며, CO 2 는 가장 큰 기여요소였다. 이중 요소 편차 분석 결과, CO 2 유동량과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임지와 해빈에 의하여 서로 달랐으며, CH 4 유동량은 임지의 영향을 받았으나 N 2 O 유동량은 임지와 해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상관성 분석 결과, 토양 환경 인자는 맹그로브 온실가스 유동량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이며, 그 중 토양 유기질, 암모니아 질소와 총 질소 함량은 N 2 O와 CO 2 유동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이고, CH 4 는 토양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와만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