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Hao,WANG, Yu,ZHU, Xiao-ming,YAN, Jin-qi,ZHANG, Wei,XU, Yuan-ji,TIAN, Ren-li,YIN, Xiao-tao,LIU, Jiao,WANG, Lin,YU, Ji-yun |
초록 |
목적 : 본 논문은 여러 가지 대장균 활성화세포(competent cell)에서 거대분자 플라스미드 DNA 백신(macromolecular plasmid DNA vaccine)의 연구에 적합한 숙주균(host bacteria)을 분리하고, 이 균주가 중간시험 규모(pilot scale)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방법 : 백신 플라스미드 pSVK-CAVA(14.7kb)를 4가지 종류의 대장균 활성화세포에 전환(transformed into)시키고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agarose gel electrophoresis) 실험을 통하여 플라스미드의 형태구조를 검사하였다. 유전자 공정균(engineered bacteria)의 생화학적 특성(biochemistry character)을 검사하고, 또한 연속적인 계대배양법(continuously transfer of culture)과 효소절단(enzyme digesting)을 통하여 안정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플라스미드 DNA를 빠른 속도로 293T 세포에 형질 주입(transfection)하여 플라스미드의 발현 능력을 검사하였다. 플라스미드 함량이 제일 높고, 또한 제일 안정한 숙주균을 선택하여 기본 종자(primary seed)로 하여 냉장보관하였다. 그리고 기본 종자은행의 배양을 확대하여 단계적으로 주요 종자은행과 작업 종자은행 등 3단계 종자은행을 구축하였다. 진탕 플라스크 배양 실험을 통하여 4가지 종류의 범용 기본 배지에서 플라스미드의 생산에 제일 적합한 배지를 선택하였다. 결과 : XL-10 Gold를 플라스미드 DNA 백신 pSVK-CAVA의 숙주균으로 할 때 유전자 공정균이 계대배양에서의 안정성과 구조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플라스미드는 293T세포 중에서 생체외 발현이 될 수 있었다. TB 배지를 기본 배지로 할 때 플라스미드의 부피 수율(volume yield)은 9.9mg/L에 이르렀는데 이는 LB를 배지로 할 때보다 약 1배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선택한 대장균 XL-10God를 플라스미드 DNA 백신의 숙주균으로 할 때 거대분자 플라스미드가 범용 숙주균에서 안정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또한 기본배지를 최적화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