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Ming,HUANG, Zhi-hong,LEI, Peng,WANG, Ming-li,CHAO, Wei-xia,MA, Jin,BU, Wang-yu,ZHANG, Juan,NIU, Bao-hua,MA, Yuan-fang,QI, Yi-jun |
초록 |
효과적인 조기진단 방법(early diagnosis method)은 간암세포(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예후(prognosis)에 매우 좋은 원인을 밝히는 것 중 하나가 된다.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글리코실화(aberrant protein glycosylation)는 악성종양세포(malignant cells)의 침입, 전이 등 생물학적 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인간의 체내에는 적어도 50%의 단백질이 글리코실화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IgY12를 이용하여 혈청 중 과잉 단백질(high abundant protein)을 제거하고, 다중식물 응집소 크로마토그래피(multi lectin affinity chromatography) 기술로 간암환자 20건의 혈청 및 연령, 성별과 대응되는 만성간염(간암이 아님) 환자의 혈청 중 N-결합형 당단백질(N-linked glycoprotein)을 정제하고, 2차원 전기영동(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분석법으로 발현차이가 있는 단백질 반점(protein spots)을 분석하였으며, 질량스펙트럼(mass spectrometry),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등 기술로 18가지 종류의 발현차이가 있는 당단백질 및 그에 따른 당단백질 단편(glycoprotein fragments)(그중에서 12가지 고발현, 6가지 저발현)을 검정하였다. ExPASy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본 실험에서 검정한 당단백질 분자는 적어도 1개의 이미 보도된 N-글리코실화 위치(N-glycosylation site)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현차이가 있는 당단백질은 급성기 반응 단백질(acute-phase proteins)로서 프로테이나제 억제(proteinase inhibition), 생물학적 수송(biological transport), 응혈(coagulation)과 섬유소 용해(fibrinolysis) 등 기능이 있다. 이는 간암의 발생 및 발전과정 중 기질(substrate)에서 생성된 급성기 반응물이 잠재적인 간암 혈청 바이오마커(potential serum biomarkers)라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