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race elements in the statoliths of neon flying squid, Ommastrephes bartrami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 Hua-jie,CHEN, Xin-jun,MA, J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이석은 두족류의 중요한 경조직으로써 그 미량 화학은 두족류 생활사의 재구축 및 군집 분류 등 어업생태학 분야에 흔히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2007년 북서태평양 해역에서 중국 오징어잡이 어선이 생산 기간 동안에 채집한 빨강오징어 샘플을 실험 재료로 하고 레이저 어블레이션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기(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LA-ICP-MS)를 통하여 18마리 빨강오징어 이석의 미량원소 성분 및 그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빨강오징어의 이석은 주로 55가지의 미량원소로 구성되었으며 함량이 가장 많은 10순위 까지의 원소는 칼슘(Ca), 스트론튬(Sr), 나트륨(Na), 인(P), 칼륨(K), 규소(Si), 마그네슘(Mg), 붕소(B), 철(Fe) 및 바륨(Ba) 등이었다. 분산 분석 결과, 성별을 다른 빨강오징어에서 Ca, Sr, Na, K, Mg, Fe, Ba의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P, Si 및 B의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부화기가 다른 개체군 사이에서 Sr 및 Na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Ca, P, K, Si, Mg, B, Fe 및 Ba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로 다른 이석 부위에서 Ca, Sr, Na, P, Mg 및 Ba의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K, Fe, B 및 Si의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미량원소 Sr 및 Na는 빨강오징어의 군집 분류 및 회유이동 추측 등 어업생태학의 연구에 이용하기 적합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905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mmastrephes bartrami,statolith,trace element,Northwest Pacific Ocean,빨강오징어,이석,미량원소,북서태평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