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ANAGEMENT STRATEGY AND COMPREHENSIVE ALLOCATION MODEL OF OMMASTREPHES BARTRAMII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Jin-li,CHEN, Xin-jun,LI, Gang,WANG, Cong-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빨강오징어(Ommastrephes bartramii)는 중국 원양어업의 중요한 어획 대상이다. 아울러, 생태효익, 경제효익 및 사회효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업 관리 목표를 제정하는 것은 빨강오징어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확보하는 중요한 연구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Gordon-Schaefer 생물경제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고 1996-2008년 동안 오징어 채낚기 어선으로 북서태평양 해역에서 빨강오징어를 어획한 생산 데이터 및 관련된 경제적 데이터를 이용하며 또한 생태효익(최대 지속 생산량, MSY), 경제효익(최대 경제 생산량, MEY) 및 사회효익(생물경제적 균형 생산량, BE)을 북서태평양 빨강오징어 자원의 최적화 배치용 기초적 데이터로 하면서 3개 효익의 다양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빨강오징어 자원의 종합 배치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대안 조건에서 빨강오징어의 단기적(1-5년), 중기적(10년) 및 장기적(20년)인 어업 자원 상황, 경제효익 및 그 사회효익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북서태평양의 빨강오징어 자원은 충분히 이용하는 상태에 있었지만 아직 남획되지 않았다. 방안8(MSY 및 MEY가 각각 50% 가중치를 차지하는 관리 목표)과 방안 2(MEY를 관리 목표로 함)는 중장기적 경제효익이 가장 컸으며 또한 자원 상황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었지만 사회효익이 비교적 낮았다. 방안 3 (BE을 관리 목표로 함)은 현재 및 단기적 효익이 비교적 커 사회 취업난을 해결할 수 있었지만 장기적 경제효익이 가장 낮았으며 또한 자원 상황이 가장 나빴다. 각 요인 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최적의 대안은 방안 8과 방안 2이다. 즉 적합한 어획 노력량을 3.94만―4.19만번의 출항 횟수로 통제할 경우, 빨강오징어 자원량을 B MSY 이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3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mmastrephes bartramii,social bio-economic model,optimal utilization,squid fishery,northwestern Pacific Ocean,빨강오징어,사회-생물경제모델,최적화 배치,오징어 어업,북서태평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