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U, Fei-yan,WANG, Xue-hui,GU, Yang-guang,YU, Jie,WANG, Liang-gen,NING, Jia-jia,LIN, Qin,JIA, Xiao-ping,YANG, Sheng-yun |
초록 |
동물성 플랑크톤(zooplankton)은 해양생태시스템에서 물질과 에너지를 운반하는 핵심적인 연결고리인 동시에 어업자원을 획득하는 중요한 미끼(diet)이기도 하다. 동물성 플랑크톤 종류의 구성과 수량의 분포는 모두 분명한 수직적 계층현상을 동반하고 있다. 본 논문은 2011년 4월, 난사군도(Nansha Islands) 남서부 대륙 사면(southwestern continental slope)의 해역에서 진행한 18곳의 관측점과 90건의 샘플에 대한 조사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해역 내 동물성 플랑크톤의 수직 분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해당 해역의 동물성 플랑크톤 종류의 구성은 풍부하였는바, 도합 18개의 군집, 580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이 보고되었다; (2)동물성 플랑크톤 종류의 구성은 수직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특정된 깊이에서 보고된 동물성 플랑크톤 종류의 수는 전체 종류의 43.6%이었고, 각 깊이에서 보고된 종류의 수는 전체 종류의 15.8%를 차지하였다; (3)우점종의 구성이 복잡하고 수직 변화가 분명하였으며 단일 종류의 우점도 지수가 높지 않았다; (4)동물성 플랑크톤의 평균 밀도와 습중량 바이오매스는 각각 206.27ind/m 3 , 94.03mg/m 3 이었고 밀도와 바이오매스는 모두 0~2m의 깊이와 30~75m의 깊이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수심 경사도의 변화에 따라 뚜렷한 쌍봉곡선(double-humped curve)을 이루었다; (5)동물성 플랑크톤 수량의 수직 변화는 주로 수온약층(thermocline)의 영향을 받았는데, 동물성 플랑크톤의 수량은 수온약층에 가장 많았고 수온약층의 윗층과 아래층에서 그 수량은 비교적 적었다; (6)난사군도의 남서부 대륙 사면에서 서식하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생산력 수준은 비교적 높았는데, 이는 해당 해역의 어업자원이 일정한 개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