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진주 담치로부터의 Superoxide Dismutase의 정제와 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세권,박선주,최광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4-01-01
초록 풍부한 해양생물인 진주담치의 조직으로부터 분리정제된 superoxide dismutase(SOD)는 1%의 수율로 264배 정제되었다. 황산암모늄 처리,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100 겔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제된 효소는 Sephadex G-100 겔여과 방법으로 측정된 분자량이 105.4 kDa이었으며, SDS-polyacrylamide 전기이동을 행한 결과 52.9 kDa의 2개의 subunit로 구성된 homodimer 임이 밝혀졌다. 이 효소는 $25^{ circ}C$ 에서 완충용액의 pH가 6에서 8.3사이일 때는 매우 안정하였지만 pH5.0 이하나 pH 10.5 이상에서는 활성이 급격히 저해되었고, $CN^-$ , $Cl^-$ , $H_{2}O_{2}$ , EDTA, SDS 농도에 비례하여서 활성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N_{3}^{-}$ 는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리고 520nm와 265nm에서 최대의 흡광을 나타내었으며, 265nm에서의 흡광은 cysteine에 의해 쉽게 환원되었다. 또한 원자흡광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결과, 효소몰당 2atom씩의 $Cu^{2+}$ , $Zn^{2+}$ 가 각각 포함되어 있어 진주담치로부터 분리된 이 효소가 Cu/Zn-SOD임을 확인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4347551842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