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measuring method of hepatic microsomal EROD activity in three species of marine fish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 Ming-en,Zheng, Rong-hui,Zhang, Yu-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어류의 생태습성에 근거하여 온난형 연안저층 암초 어류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와 천해저층 어류 새눈치(Sparus latus), 먹도미(Sparus macrocephalus)를 실험동물로 선택하여 0# 디젤유 WSF 유도 그룹과 대조 그룹 쏨뱅이의 간 마이크로솜 EROD 동력학적 반응 시스템의 측정 조건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최적 측정 조건은 pH값 7.60, 온도 15℃, 기질 7-ethoxyresorufin 농도 0.5μmol/L, 샘플 단백질량 100~800μg, 감소된 다이포스포피리딘 뉴클레오타이드 II NADPH 70nmol/mL인 것을 확정하였다. 유도 그룹과 대조 그룹의 최적 반응 조건은 차이가 없었지만 유도 그룹의 효소활성은 대조그룹보다 높았다. 대조 그룹과 유도 그룹 EROD의 K m 값은 각각 0.144μmol/L와 0.357μmol/L이고 V max 값은 각각 0.466nmol min -1 mg -1 단백질과 2.360nmol min -1 mg -1 단백질이었다. 중국에서 최초로 쏨뱅이 간 마이크로솜 EROD 활성을 검측하는 기술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3종 실험 어류의 간 마이크로솜 EROD 반응 시스템의 최적 pH값과 최적 온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새눈치와 먹도미는 쏨뱅이와 달리 EROD 반응 최적 pH값이 모두 7.80이고 최적 온도는 모두 25℃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5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bastiscus marmoratus,Sparus latus,Sparus macrocephalus,EROD activity,O# diesel oil WSF,crude oil WSF.,쏨뱅이,새눈치,먹도미,간 마이크로솜 EROD,0# 디젤유 WSF,원유 W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