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earch on base flow field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upersonic base bleed projectil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空氣動力學學報 = Acta aerodynamica Sinica
ISSN 0258-18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O, Chang-fei,FENG, Feng,WU, Xiao-s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초음속 항력 감소탄의 공력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AUSMPW+ 풍상 해법, k-ω SST 난류 모델, 8개 구성 요소 12개 반응 화학 동역학 모델 및 2차 난류 연소 모델 등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고려한 3차원 Navier-Stokes 방정식을 계산하였다. 수치적 기법의 유효성 및 신뢰성을 검증한 다음, 초음속 항력 감소탄의 실제 기체 유동장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받음각과 보트테일의 각도가 항력 감소탄의 기저부 유동장 구조 및 공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받음각이 기저부의 유동장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컸다. 받음각의 증가에 따라, 풍상면과 풍하면의 초기 환류 영역 체적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또한 풍상면의 초기 환류 영역 체적은 시종 풍하면의 초기 환류 영역 체적보다 작았다. 받음각의 증가에 따라 탄저부의 항력 계수, 총 항력 계수 등 공력 계수는 모두 증가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상응한 최적의 보트테일의 각도가 있었다. 보트테일 각도의 변화는 기저부 유동장 구조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연료 짙은 가스(rich-fuel gas)의 2차 연소 영역과 강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항력 감소탄이 있을 경우에 상응하는 최적의 보트테일 각도는 항력 감소탄이 없을 경우에 상응하는 최적의 보트테일 각도보다 작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4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mputational fluid dynamics,base bleed projectile,aerodynamic characteristics,attack angle,boattail angle,전산유체역학,항력 감소탄,공력 특성,받음각,보트테일 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