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constitu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synthesis enzymes in mammalian cells to convert LA to DH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ISSN 1000-30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Gui-ming,ZHU, Gui-ming,QIU, Li-hong,SUN, Jie,SHANG, Yu,JIANG, Xu-dong,GE, Tang-dong,ZHANG, T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도코사 핵사 엔산(docosahexenoic acid) (DHA, 22:6n-3)은 22개 탄소원자로 되어있고 6개 이중 결합의 ω-3계 다가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으로서, 인체에서 중요한 생물학 기능을 갖고 있다. 인체 및 기타 포유동물 체내에서는 DHA를 소량밖에 합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부분 DHA는 식물에서 섭취해야 한다. 현재 DHA의 천연자원(주로 심해 어류 등 해양 제품)은 날로 적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새로운 자원을 하루빨리 개발하여 지속 확대되는 시장 수요를 만족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형질전환 유전자 기술을 이용하여 포유동물 세포에서 Δ6과 Δ5 지방산 불포화효소(fatty acid desaturase) 및 Δ6과 Δ5 지방산 신장효소(fatty acid elongase)를 과발현하였다. 동시에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Δ15 불포화효소와 유글레나(Euglena gracilis)의 Δ4 불포화효소를 동시에 발현하였다. 그 결과 6종 효소의 발현 혹은 과발현으로 인해 ω-6계의 리놀레산(Linoleic acid) (LA, 18:2n-6)이 DHA(22:6n-3)로 전환되었으며, DHA(22:6n-3)의 함량이 대조 그룹의 16.74%에서 실험 그룹의 25.3%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방안과 기술 노선은 앞으로 유전 개조를 이용한 포유동물의 진귀한 DHA(22:6n-3) 등 긴 사슬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5139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olyunsaturated fatty acid,fatty acid desaturase,fatty acid elongase,multiple-gene expression vector,transgene,다가불포화 지방산,지방산 불포화효소,지방산 신장효소,다중 유전자 발현 벡터,전이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