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OF A TYROSINE PROTEIN KINASE GENE FROM OCTOPUS OCELLATUS AND THE EXPRESSION PATTERN AFTER BACTERIA STIMUL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Ran-ran,WEI, Xiu-mei,YANG, Jian-min,WANG, Wei-jun,LIU, Xiang-quan,FENG, Yan-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지난 번 연구에서 구축한 쭈꾸미(Octopus ocellatus)의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하나의 쭈꾸미 티로신 단백질 키나아제(OoBtk) 유전자의 완전한 cDNA를 클로닝하여 확보하였다. 그 완전한 cDNA 길이는 1,191bp로서 길이가 259bp인 5' 비암호화 부위(Uoncoding region, UTR)와 길이가 227bp인 3' UTR를 가지고 있으며 개방해독틀(ORF)의 길이는 705bp이고, 암호화된 아미노산은 234개였으며 이론적 등전점 및 분자량은 각각 8.50 및 27.7kDa였다. 실시간 형광 정량 PCR법을 이용하여 건강한 쭈꾸미의 다양한 조직 및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와 Listonella anguillarum으로 자극한 후 혈액세포에서 OoBtk의 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육, 외투막, 아가미, 아가미심장, 체심장, 간췌장, 음낭, 위, 생식선 및 혈액세포 등 각 조직 내에서 OoBtk의 발현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간췌장 내에서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와 Listonella anguillarum으로 쭈꾸미를 자극한 후, 혈액세포 내에서 OoBtk의 발현량은 뚜렷한 유도 발현 특성을 나타냈으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와 Listonella anguillarum으로 자극하여 6h 지나 발현은 증진되었으며 또한 각각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자극으로 48h 지난 뒤 및 Listonella anguillarum의 자극으로 12h 지난 뒤에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결론적으로, OoBtk는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및 Listonella anguillarum의 자극에 대한 쭈꾸미의 응답 과정에 참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7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ctopus ocellatus,tyrosine protein kinase,real-time PCR,Listonella anguillarum,Micrococcus luteus,주꾸미,티로신 단백질 키나아제,실시간 형광 정량 PCR,Listonella anguillarum,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