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Feng-qin,LIU, Ya-qiong,ZHANG, Rui,WANG, Yuan-yuan,XIE, Hui,SONG, An-dong |
초록 |
고온 내성 Issatchenkia orientalis HN-1이 목질 섬유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연료 에탄올을 생산하는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단일 요인 시험과 응답곡면 중심 조합 시험을 통하여 목질 섬유소 가수분해물 내 유독성 부산물 폼산 나트륨(Sodium formate)(1.0-5.0 g/L), 초산나트륨(Sodium acetate)(2.5-8.0 g/L), 푸르푸랄(0.2-2.0 g/L), 5- hydroxymethyl furfural (0.1-1.0 g/L), 바닐린(0.5-2.0 g/L)이 에탄올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목질 섬유소 가수분해물 부산물은 Issatchenkia orientalis HN-1의 에탄올 발효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미친다. 2g/L의 바닐린 혹은 1g/L의 5- hydroxymethyl furfural를 첨가하였을 때 에탄올의 생산량을 각각 20.38%와 11.2% 줄일 수 있는 외에 기타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은 에탄올의 형성에 명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부산물의 농도가 비교적 높을 때 균체의 생장을 명확히 억제할 수 있다. 1~5g/L의 폼산나트륨, 2.5~8.0 g/L의 초산나트륨, 0.4~2g/L의 푸프푸랄, 0.5~2g/L의 바닐린을 첨가하고 36시간 발효하였을 때 균체 세포 건조 질량은 대비 그룹에 비해 각각 25.04%~37.02%, 28.83%~43.82%, 20.06%~37.60%와 26.39%~52.64% 줄었다. 중심 조합 실험(central composite experiments) 결과, 다양한 억제물질의 상호작용은 에탄올의 형성에 명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목질 섬유소 가수분해물은 Issatchenkia orientalis HN-1의 에탄올 발효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미치며 셀룰로오스 에탄올(Cellulosic ethanol) 발효에 적합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