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lex-PCR for identification of two Hishimonus species(Hemiptera: Cicadellidae) in jujube orchards and detection of jujube witches' broom(JWB) phytoplasma in their bodie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昆蟲學報 = Acta entomologica Sinica |
ISSN | 0454-6296, |
ISBN |
저자(한글) | HAO, Shao-dong,CHEN, Yu-qi,WANG, Jin-zhong,WANG, He,TAO, Wan-qiang,ZHANG, Zhi-yong,SHI, Xiao-yu,ZHOU, Sa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적] 얼마 전에 베이징 대추 재배지에서 H. sellatus[Hishimonus sellatus(Uhler)]와 H. lamellatus(Hishimonus lamellatus Cai)가 혼합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H. sellatus는 대추나무 도깨비집병(jujube witches' broom, JWB)을 전파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H. lamellatus은 JWB 파이토플라스마를 함유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추 재배지의 마름무늬매미충 종류를 정확하게 식별 구분하고 체내 JWB 파이토플라스마 감염 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농전에서의 JWB병 유행 패턴 해석에 도움이 된다. 나아가 JWB병 및 매개 곤충 예방 퇴치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제정에도 매우 중요하다. 형태학적 방법으로 두가지 마름무늬매미충 종류를 식별하는 전통적 방법은 수컷 성충의 외부 생식기 관찰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구축함으로써, 대추 재배지의 두가지 마름무늬매미충을 구분하는 동시에 충체 내 JWB 파이토플라스마를 검출하는 것이다. [기법] H. sellatus과 H. lamellatus의 COI 유전자와 JWB 파이토플라스마의16S rDNA를 증폭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프라이머를 설계한 다음 3쌍의 프라이머를 함유한 다중 PCR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매미충의 총 DNA 검사에서 앞서 구축한 다중 PCR 시스템의 민감도와 정확성 그리고 두가지 매미충 DNA가 동시에 존재할 때 시스템의 식별 능력 및 JWB 파이토플라스마 16S rDNA에 대한 시스템의 민감도를 시험한다. [결과] 앞서 구축한 다중 PCR 시스템은 H. sellatus과 H. lamellatus을 정확하게 구분하였고 충체의 JWB 파이토플라스마를 검출할 수 있었다. 곤충의 총 DNA에 대한 민감도는 0.012 ng였고 JWB 파이토플라스마 16S rDNA 탬플릿에 대한 민감도는 900 카피(copy)에 도달하였다. [결론] 본 방법은 농전에서 마름무늬매미충 개체군의 발생 동태 및 충체의 JWB 파이토플라스마 감염 감시에 큰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50943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Hishmonus sellatus,Hishimonus lamellatus,jujube witches' broom,phytoplasma,multiplex-PCR,molecular identification,Hishmonus sellatus,Hishimonus lamellatus,대추나무 도깨비집병,파이토플라스마,다중 PCR,분자 감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