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Wet-dry seasonal patterns and inter-tree variation of hydraulic conductance of Schima superb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U, Juan,ZHAO, Ping,ZHU, Li-wei,NIU, Jun-feng,ZHAO, Xiu-hua,ZHANG, Zhen-zhen,SUN, Zhen-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서로 다른 개체 수리전도도(K L )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목 수분이용에서 수리전도도의 핵심 작용을 제시함으로써 삼림 수분 순환을 깊이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열 소산 탐침(thermal dissipation probe) 수액흐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국 광저우(Guangzhou) 지역의 6그루 크기가 서로 다른 Schima superba 표본목의 수액흐름 밀도(J S )를 연속 모니터링하였으며, 나무의 엽편 수분포텐셜(Ψ L ), 토양 습도, 나무높이, 변재(sapwood) 면적(A S ), 관폭 등 파라미터를 결합하여 전체 나무 수리전도도의 일변화와 건조-습윤 계절변화를 분석하였고, 서로 다른 크기의 표본목 수리전도도의 변화 법칙을 게시하였다. 분석결과, 흉고직경이 서로 다른 6그루 표본목의 수액흐름 밀도 차이는 뚜렷하였으며, 수액흐름 밀도 최대값은 흉고직경이 가장 큰 표본목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흉고직경이 다소 작은 나무에서 나타났다. 6그루 표본목의 수액흐름 밀도값을 측정하여 표본목의 전체 나무 수리전도도를 한층 더 계산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6그루 나무의 일평균 수리전도도는 뚜렷한 기복 변동을 나타냈다. 그중 건조한 계절의 수리전도도(0.017 g m -2 s -1 MPa -1 )는 습한 계절(0.019 g m -2 s -1 MPa -1 )보다 다소 낮았으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표본목의 토양/엽편 수분포텐셜 차이와 평균 수액흐름 밀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 결과적으로, Schima superba 수리전도도는 뚜렷한 일변화를 나타냈고 그 크기는 일정한 정도에서 나무 형태 지표의 영향을 받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537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ydraulic conductance,Schima superba,tree morphology,Granier's thermal dissipation probe,sap flow,수리전도도,Schima superba,나무 형태 특성,Granier 열 소산 탐침,수액 흐름 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