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기능성 천연물 복합제의 이화학적 특성 확인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ISSN 1226-331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명희,조덕조,윤성란,이기동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혈압 강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천연물 복합제를 여러 문헌과 처방을 통해 선정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천연물 복합제 28가지에 대한 추출물의 수율은 $5.33{ sim}36.71%$ 범위를 나타내었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04.89{ sim}2543.29mg%$ 및 $59.79{ sim}1430.55mg%$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 5, 9, 17, 18, 20, 22 및 26번의 경우 800 m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7.81{ sim}98.18%$ 범위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전자공여능이 높게 나타난 시료는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던 시료와 유사한 경향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생약성분들인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가 중요한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pH 1.2에서 $11.70{ sim}96.47%$ , pH 4.2 및 6.0에서 각각 18.12% 및 12.77% 이하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어, pH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천연물 복합제를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 활성의 평가도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7018044525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erb,total phenolic compound,total flavonoid content,electron donating ability,nitrite scaveng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