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Alterations of Intermuscular Fat Accumulation and Myokine Expression during Glycerol-induced Muscle Injur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化學與分子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ISSN 1007-762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Ting,LI, Zhong-wen,ZHANG, Yan-yan,FENG, Fei,YANG, Gong-she,SHEN, Qing-w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글리세린(glycerol)이 유도한 생쥐의 근육 손상 복구 과정에서 근간지방(intermuscular fat)이 축적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수한 단백질로서 근육 분비 인자(myokines)는 근육과 지방 간 다양한 생리 과정에 참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근육에 글리세린을 주사하였을 때 근간지방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주사 후 근육 분비 인자가 근육 손상 후의 복구 및 근간지방의 축적 과정에서 나타내는 발현 추세를 분석하기 위해, 3달 되는 C57BL/6 품종 생쥐의 오른쪽 다리 경골 앞 근육에 50% HBSS(V/V) 글리세린을 주사하여 실험 그룹으로 하고, 왼쪽 다리 경골 앞 근육에 같은 양의 HBSS 완충액을 주사하여 대조그룹으로 하였다. 주사 후 서로 다른 시기에 생쥐의 경골 앞 근육을 추출하고 냉동 절편 기술을 이용하여 근육 재생 및 근간지방의 축적 상황을 검사하였다. 실시간 정량 PCR 기법으로 각 분비 인자(IL-6, IL-15, MSTN, FNDC5, FGF21, myonectin와 Insl6)의 mRNA 발현 변화를 검사하고,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분비 인자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검사하였다. 실험 결과, 글리세린이 유도한 근육 손상 재생 복구 과정에서 근간지방이 생성되었으며 IL-6, Insl6, FGF21과 IL-15의 mRNA 상대적인 발현량이 근육 손상 복구 과정의 전기와 중기에서 뚜렷한 변화를 나타냈다. 그러나 MSTN과 myonectin의 mRNA 상대적인 발현량 변화는 중기와 후기에 뚜렷했다. IL-6, Insl6의 단백질 발현량은 전기와 중기에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한 결과, 글리세린을 주사하였을 때 근육의 손상 복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근간지방의 축적이 동반된다. 그러나 근육 분비 인자는 근육과 지방 간 정보 교환 인자로써 근육 손상 후의 재생 복구와 근간지방의 형성 과정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609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lycerol,muscle injury,intermuscular fat,myokines,글리세린,간손상,근간지방,근육 분비 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