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7-Ethyl-8-methyl flavin이 S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Kim and Lambooy (1967)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즉 이 flavin 투여후 30일에 쥐 간장에서 SDH 효소 활성은 정상군의 해당조직 효소 활성치를 100%로 할때 23%로 떨어져 100일 까지 계속 20% 내외로 유지하여, 심장에서는 투여 30일에 64% 50일에 43% 100일에서 31% 내외였고, 신장에서는 30일에 72% 50일에 68% 100일에 56% 내외를 유지한다고 보고 하였다. 저자는 본 실험을 시작하기전에 Kim and Lambooy (1967)방법에 따라 쥐에 이 flavin을 투여한 후 42일에 SDH 효소 활성을 측정한바 간장에서 24% 심장에서 48% 신장에서 76%로 떨어졌으나, 그 쥐의 성장, 체중의 증가, 식이 섭취량 및 외모등이 riboflavin 투여군과 동일한 사실을 재확인 하였으며 이런 SDH 효소 활성을 유지하는 쥐에다 D-glucose $^{14}C$ (U)를 마리당 $55{ times}10^5$ dpm 씩 복강내 주입하고 이 쥐를 metabolic cage에 넣어 호흡을 통하여 나오는 총 $^{14}CO_2$ 의 배설량을 methylcellosolve:ethanolamine 용액 (2:1)에 포착시켜 정량한바 riboflavin 투여군에서는 평균 $257192{ pm}8630 ;cpm$ /3hrs/gm of body wt. 7-ethhyl-8-methyl flavin 군은 평균 $255426{ pm}1160 ;cpm$ /3hrs/gm of body wt. 로 두군의 총 $^{14}CO_2$ 배설량은 서로 같았다. 7-Ethyl-8-methyl flavin에 의하여 SDH 활성이 떨어졌음에도 총 $^{14}CO_2$ 배설량에 하등의 변동이 없는 이 두군에서 성장 및 체중증가, 식이 섭취량, 외모 등의 동일성으로 미루어보아 체내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주는 대사장애는 없는 것으로 사려되나, 투여한 D-glucose $^{14}C$ (U)로부터 간장내 지방 de novo 생합성은 평균 $13080{ pm}420$ cpm per gm에서 $6595{ pm}400$ cpm per gm 으로 7-ethyl-8-methyl flavin 투여군에서 50%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장지방내 $^{14}C$ 는 모두투여한 $^{14}C$ (U)로부터 합성된 것임으로 이 결과는 간장 조직내에서 SD H 활성 저하가 지방 de novo 생합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즉 SD H 활성이 떨어지면 Krebs cycle 저하를 초래하고 이것은 glucose로 부터 지방의 de novo 생합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사려된다. 간장내 총 triglyceride 함량은 정상군에서 평균 $1.93{ pm}0.083gm%$ 이나 7-ethyl-8-methyl flavin 투여군에서는 $2.49{ pm}0.085gm%$ 로 29%가 증가하였으며 간장내 총지방함량 역시 정상군에서 평균 $4.53{ pm}0.299gm%$ 인데 비해 7-ethyl-8-methyl flavin 투여군에서는 $5.90{ pm}0.157gm%$ 로 정상군보다 30% 증가하였다. 이상 결과로 미루어 보아 7-ethyl-8-methyl flavin 투여로 간장에서 SDH 합성이 24%로 떨어지면 간장내 지방의 de novo 생합성은 50% 감소되나 총 triglyceride 함량은 정상군보다 29%, 총지방함량은 30% 증가하였다. 이는 아마도 체내 SDH 활성저하가 말초 지방조직으로부터 간장조직으로 지방산의 이동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사려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