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전통적인 기관 이식은 기관의 래원, 윤리, 생체 면역거부반응 등의 제약을 받는 원인으로 임상 치료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끊임없는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공학이 탄생하고 발전하게 되었다. 조직공학의 최초 이념은 세포, 지지체 재료, 생물활성 인자를 연합 사용하여 조직의 복구, 재생 관련 연구 및 응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가 깊어짐에 따라 조직공학의 개념은 계속적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의 조직공학은 엔지니어링 및 생명과학 원리를 활용하여 생물활성이 있는 인공 대체물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손상된 인체 조직의 기능을 유지, 복구, 향상하기 위한 복합 학과이다. 조직공학은 탄생 20여 동안 대체로 3 단계의 발전을 거쳤다. 재생의학은 현대 임상 의학의 중요한 분지이며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조직공학은 완벽한 조직기관 재생을 목표로 하고, 재생의학의 핵심 연구 영역이며, 재생의학의 주요한 발전 방향을 대표한다. 재생의학의 이론 및 기술적 방법은 조직공학의 발전을 촉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