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otemporal dynamics of maize water suitability and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in Liaoning Province, China from 1981 to 2010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I, Fu,ZHANG, Shu-jie,JI, Rui-peng,MI, Na,WU, Jin-wen,ZHANG, Yu-sh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농업 기상학적 가뭄 지수를 도입하여 발육기 척도의 옥수수 수분 적합도(Maize water suitability, MWS) 모델을 구축한 다음, 1981-2010년 동안 중국 랴오닝성(Liaoning Province) 52개 기상 관측소에서 확보한 옥수수 발육기 및 일반 기상 데이터를 토대로, 기후 추세 분석 및 급격한 변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MWS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및 농업 가뭄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발육기마다 MWS는 서로 다른 변화 특성을 보였다. 그중 출아기부터 칠엽(seven leaves) 단계까지(Ⅱ), 마디 단계부터 웅수기까지(Ⅳ) 및 유숙기부터 성숙기까지(Ⅵ)는 각각 1994, 1996 및 1999년에 기후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으며, 지난 30년 동안 파종기부터 출아기까지(Ⅰ), seven leaves 단계부터 마디 단계까지(Ⅲ), Ⅳ 및 웅수기부터 유숙기까지(Ⅴ)의 MWS는 뚜렷하지 않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Ⅱ 및 Ⅵ 시기에는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그중 Ⅵ 시기에는 뚜렷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MWS의 기후 특성은 공간적 차이를 보인 외, 다양한 수준의 가뭄은 각 발육기마다 발생할 확률이 달랐으며 특히 Ⅰ, Ⅱ, Ⅲ 및 Ⅵ 시기에는 랴오닝성 일부 지역에서만 MWS의 뚜렷한 증가 및 감소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해당 4개 시기의 랴오닝성 서북부 및 랴오닝성 남부 지역은 MWS의 변이성이 높은 지역이기도, 중간 정도 및 심각한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하였다. 반면에 Ⅳ 및 Ⅴ 시기의 가뭄 발생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상응한 지역에서만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였다. 지역 평균 MWS는 지역적인 척도에서 농업 가뭄을 매우 잘 평가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0520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ater suitability,maize,Liaoning Province,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수분 적합도,옥수수,랴오닝,농업 가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