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AI, Fu,ZHANG, Shu-jie,JI, Rui-peng,MI, Na,WU, Jin-wen,ZHANG, Yu-shu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농업 기상학적 가뭄 지수를 도입하여 발육기 척도의 옥수수 수분 적합도(Maize water suitability, MWS) 모델을 구축한 다음, 1981-2010년 동안 중국 랴오닝성(Liaoning Province) 52개 기상 관측소에서 확보한 옥수수 발육기 및 일반 기상 데이터를 토대로, 기후 추세 분석 및 급격한 변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MWS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및 농업 가뭄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발육기마다 MWS는 서로 다른 변화 특성을 보였다. 그중 출아기부터 칠엽(seven leaves) 단계까지(Ⅱ), 마디 단계부터 웅수기까지(Ⅳ) 및 유숙기부터 성숙기까지(Ⅵ)는 각각 1994, 1996 및 1999년에 기후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으며, 지난 30년 동안 파종기부터 출아기까지(Ⅰ), seven leaves 단계부터 마디 단계까지(Ⅲ), Ⅳ 및 웅수기부터 유숙기까지(Ⅴ)의 MWS는 뚜렷하지 않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Ⅱ 및 Ⅵ 시기에는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그중 Ⅵ 시기에는 뚜렷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MWS의 기후 특성은 공간적 차이를 보인 외, 다양한 수준의 가뭄은 각 발육기마다 발생할 확률이 달랐으며 특히 Ⅰ, Ⅱ, Ⅲ 및 Ⅵ 시기에는 랴오닝성 일부 지역에서만 MWS의 뚜렷한 증가 및 감소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해당 4개 시기의 랴오닝성 서북부 및 랴오닝성 남부 지역은 MWS의 변이성이 높은 지역이기도, 중간 정도 및 심각한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하였다. 반면에 Ⅳ 및 Ⅴ 시기의 가뭄 발생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상응한 지역에서만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였다. 지역 평균 MWS는 지역적인 척도에서 농업 가뭄을 매우 잘 평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