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tensity Tuning of Neurons in The Primary Auditory Cortex of Albino Mous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 Qiao-Zhen,SI, Wen-Juan,LUO, Feng,WANG, 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강도(intensity)는 소리(sound)의 기본 매개 변수 중 하나이며, 청각 신경 세포의 강도 조절은 청각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gamma;-아미노부티르산( gamma;-aminobutyric acid, GABA)의 억제입력은 강도 조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억제입력과 일부 신경회로 사이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실험은 체세포외 전기 생리학적 기록과 신경 약리학적 방법으로 쥐의 일차 청각 피질(primary auditory cortex) 뉴런의 강도 조절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조 뉴런은 청각 자극 강도가 중급보다 강해질 때 잠복기는 줄어들고(P lt;0.05), 방출 지속 시간은 연장이 된다(P lt;0.05). 비단조 뉴런(non-monotonic neurons)은 청각 자극 강도가 최적에서 높아질 때, 잠복기는 변하지 않으며 방출 지속 시간은 줄어든다(P lt;0.01). GABA 수용체 차단제 바이쿠쿨린(bicuculline, Bic)을 주사한 후 39.3%의 뉴런의 강도 조절 유형은 변하지 않으며, 42.9%의 뉴런의 비단조성은 약화되고 17.9%의 뉴런의 비단조성은 강화된다. 이는 GABA 수용체는 비단조성을 형성하는 유일한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흥분성 입력의 비단조성 및 높은 매개 변수의 비GABA 수용체가 억제한 활성 역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추측에 의하면 흥분성과 억제입력에 의한 일부 뉴련 기능 회로 및 통합은 청각 피질 뉴련의 강도 조절 특징을 결정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5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intensity tuning,firing duration,latency,inhibitory input,primary auditory cortex,mouse,강도 조절,방출 지속시간,잠복기,억제입력,일차 청각 피질,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