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ing of Activation Protocols and Production of Transgenic Pigs Expressing Human Lysozyme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WEI, Heng-Xi,LI, Jun,TONG, Jia,MA, Yu-Fang,GAO, Feng-Lei,LI, Qiu-Yan,ZHANG, Shou-Quan,LI, N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유전자 변형 복제 효율을 높이고 인간 라이소자임(human lysozyme, hLY) 유전자 변형 복제 돼지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전기 활성 매개 변수와 화학적 활성법으로 돼지 클론 배아와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장 강도는 복제 배아의 융합률과 체외발달률에 선명한 영향을 주며(P lt;0.05) 복제 배아 체외발달에 대한 전기 펄스 수의 촉진작용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P gt;0.05). 같은 전기 활성 조건에서 복제 배아와 단위생산란의 체외발달 변화 추세는 서로 다르다. 전기 활성 후 CHX + cytochalasin B(CHX+CB)로 4시간 처리하면 복제 배아의 배반포 비율을 선명하게 높인다(P lt;0.05). 반면 N6-Dimethyladenine(6-DMAP)으로 처리한 결과 복제 배아의 배반포 비율을 높이지 못하였다(P gt;0.05). 그러나 6-DMAP 혹은 CHX+CB는 모두 단위 생산란의 배반포 비율을 높인다(P lt;0.05).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최고의 단위생산란의 활성 조건은 복제 배아의 최고 활성 조건이 아닐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의 돼지 복제 배아의 최고 활성법은 다음과 같다. 1.6 kV/cm, 100 mu;s, 100 mu;s 간격으로 2차례 직류 전기 펄스를 진행하며 다시 CHX+CB로 4시간 처리한다. 최적화한 활성 조건으로 인간 라이소자임을 유선 특이 발현( Breast - specific expression) 한 유전자 변형 돼지를 얻었다. 이는 유전자 변형 돼지를 육종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49154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embryo activation,transgene,human lysozyme,pig,체세포 클로닝,배아활성,이식 유전자,인간 라이소자임,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