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191 May Regulate Pig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argeting The Transcription Factor C/EBPβ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LIU, Shuai,NING, Xiao-Min,LI, Mei-Hang,QIU, Yang,LI, Yan-Jie,DONG, Pei-Yue,YANG, Gong-She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은 실험실 전기 Solexa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생물정보학 분석을 결합하여 다양한 발육 단계의 돼지 피하 지방조직 이형 발현 miRNAs에서 풍도가 높고 차이가 선명한 후보 miR-191을 선별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로 miR-191을 과발현하고 실시간 정량 PCR, Western blot, 이중 발광효소 발현 유전자 측정 등 기법으로 miR-191이 돼지 지방선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miR-191은 돼지 지방선구세포의 분화 발현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비군과 비교하였을때 miR-191을 과발현한 돼지 지방선구세포속 miR-191 전사체는 명확히 많아졌으며 증폭체결합단백질(enhancer-binding protein) beta;(C/EBP beta;), PPAR gamma;, aP2의 mRNA 수준을 낮추고 돼지 지방선구세포 분화를 억제한다. 또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 대비군과 비교하였을때 과발현 miR-191의 돼지 지방선구세포는 48시간내에 C/EBP beta; 단백질 수준이 55% 하락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TargetScan 등 알고리즘의 positive- screening 및 MicroInspector Negarive Screening을 결합하여 miR-191의 후보 타겟 유전자를 얻었으며 이중 발광효소 발현 유전자 측정 기법으로 측정한 결과 miR-191은 C/EBP beta; 3 prime;UTR에 직접 작용할 수 있으며 반딧불의 발광효소 활성을 억제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miR-191은 지방 세포 분화 초기 표기 유전자 C/EBP bet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돼지 지방선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51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iR-191,C/EBPβ,porcine preadipocyte,profiling,target genes forecast,adenovirus,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miR-191,C/EBPβ,돼지 지방선구세포,발현 양상,목표 유전자 예측,아데노바이러스,이중 발광효소 유전자 측정 보고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