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roundup ready transgenic soybean on ammonia-oxidizing archaeal diversity in rhizospheric soi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Zhi-hua,XU, Guang-hui,WANG, Hong-yan,LIU, J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라운드업 레디 형질전환 콩(Roundup ready transgenic soybean [Glycine max(L.) Merr.](RRS))은 몬산토회사(Monsanto Company)가 처음으로 산업화 생산한 형질전환(genetically modified crops) 작물이다. 최근 들어 형질전환 작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토양 생물다양성 위해성 평가를 포함하여 점차적으로 주된 관심사가 되고있다. 암모니아 산화 고세균은 질화(nitrification)과정의 핵심 미생물로서 질소의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킨다. 본 논문은 라운드업 레디 형질전환 콩(Roundup ready transgenic soybean, RRS), 비형질전환 개체(non-transgenic parental isoline , RRS-S), 야생콩(wild soybean, W-S)과 재배한 콩(cultivated soybean, D-46)을 소재로 PCR-DGGE 방법을 이용하여 근권토양 중의 암모니아 산화 고세균(Ammonia-oxidizing archaea , AOA)의 군락 다양성 변화를 연구하여 형질전환 콩의 생태안전성 평가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다양성 지수와 균일도 지수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RRS는 근권토양 중의 AOA 군락 다양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성분 분석 결과, RRS와 기타 품종 콩(W-S와 D-46)은 근권토양 중의 AOA 군락구조와 차이가 비교적 크지만 개체(RRS-S)와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moA 유전자 서열 분석과 계통수(phylogenetic tree)의 구축을 통하여, 서로 다른 형질 콩 근권토양 중의 AOA는 일부분이 문헌중에 기록된 토양 AOA류이고(soil/sediment), 일부분이 기존의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것(soil)이며, 서열 분석으로 검출된 AOA는 모두 수생환경(water) 혹은 해양 퇴적물(sediment) 중의 AOA류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매우 많은 검출된 AOA는 문헌에 기록이 없고 또한 분류되지 않았는데 그중에는 RRS의 밴드 1, 20, 25가 결실한 것과 특정 밴드 3이 있는 것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라운드업 레디 형질전환 콩은 근권 AOA의 다양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AOA 군락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0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isk assessment,PCR-DGGE,diversity,amoA,위해성 평가,PCR-DGGE,다양성,am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