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nome-wide Identification and Analyses of the Classical Secreted Proteins of Rhizobium etli CFN4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基因組學與應用生物學 = Genomics and applied biology
ISSN 1674-56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Wu,MA, Jin-tian,PAN, Wei,LEI, Teng-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강낭콩 근류균 Rhizobium etli CFN42의 전 유전체 서열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컴퓨터 기술과 생물정보학 분석 방법을 결합하여, 강낭콩 근류균 단백질체 내의 분비 단백질을 예측하고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공생 질소 고정(symbiotic nitrogen fixation)의 분자 메커니즘을 깊이 이해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근류균의 5,963개 단백질 가운데 신호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분비 단백질이 332개 있고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는데 주로 기질 수송, 물질대사와 신호 전달 등 방면에 관련되었다. 또 기능 기술이 있는 186개 분비 단백질 가운데서는 각각 I, II, III, IV형 분비 시스템과 세린 프로테아제( serine protease )를 식별하였다. 이 단백질들은 근류균에 의한 숙주 식물 감염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양자 분자적 대화(molecular cross-talk)의 중요한 참여자였다. 가설 단백질에서 구조 도메인 분석을 통하여 SH3b, BA14K 및 EFh의 구조 도메인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구조 도메인을 함유하는 분비 단백질은 근류균 신호 전달 경로에 참여하는 가능성이 있다. 근류균의 공생 근류 형성(symbiotic nodulation) 과정에서 분비 단백질은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6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hizobium etli,Whole genome,Secreted protein,Signal peptides,강낭콩 근류균,전 유전체,분비 단백질,신호 펩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