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stimating canopy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maize field based on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plant ecology
ISSN 1005-26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Feng,ZHOU, Guang-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원격탐사 반전(remote sensing inversion)을 이용하여 수관층(canopy)의 광합성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것은 생태계의 원격탐사 모델을 구축하는 핵심이다. 2011년의 옥수수(Zea mays) 전체 생장 발육기의 수관층 분광 반사율, 생태계의 CO 2 유동량, 미기후(microclimate) 요인 및 옥수수 광합성 생리 및 생태 지표에 대한 관측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옥수수 농경지 내 생태계 수관층의 광합성 능력(P max , 최대 광합성률)과 광합성 효율[ ε N , 순 CO 2 유동량 교환/흡수된 광합성 유효 방사(net ecosystem CO 2 exchange/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NEE CO2 /APAR); ε G , 총 일차 생산력/흡수된 광합성 유효 방사(gross primary productivity/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GPP/APAR); α, 겉보기 양자 효율] 파라미터에 대한 다분광 원격탐사 반전 능력을 평가하고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P max 과 α은 전체 생장기에 단봉형(unimodal pattern) 변화 추세를 나타냈으며, 각각 7월 말, 8월 초에 피크에 달하였다. 광합성 효율 파라미터인 ε N 과 ε G 은 옥수수의 영양생장 초기에 비교적 높았으나, 옥수수의 생장, 발육과 더불어 신속하게 감소하였으며, 그 후에는 단봉형 변화 추세를 나타냈으며, 피크 출현 시간은 P max 최대치 발생 시간과 거의 일치하였다. 두 주파대 내 임의 그룹의 원격탐사 식생 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RVI(ratio vegetation index), WDRVI(wide dynamic range vegetation index), EVI2(2-band enhanced vegetation index), CI(chlorophyll index)와 옥수수 수관층의 4개 파라미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EVI2로 수관층의 광합성 효율과 광합성 능력 파라미터를 반전, 반영하였을 때 그 효과가 가장 양호하였다. 연구 결과, 다분광 원격탐사 정보는 옥수수 생태계 내 수관층 광합성 파라미터의 변이에 비교적 강한 민감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이를 옥수수 수관층 광합성 파라미터의 계절적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농작물의 생산력과 생태계의 CO 2 교환 능력을 정확하게 정량 평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6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ddy covariance,field spectrometry,photosynthetic capacity,photosynthetic efficiency,spectral vegetation indices,에디 공분산,야외 분광 측정,광합성 능력,광합성 효율,원격탐사 식생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