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hade 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Ardisia violac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Yun,XIA, Guo-hua,MA, Kai,LI, Gen-you,DAI, Ying-chao,YAN, Cai-x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Ardisia violacea는 중국 저장(Zhejiang)과 타이완(Taiwan) 지역에 분포된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이다. Ardisia violacea의 빛에 대한 수요 및 적응 특성을 알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광강도(차광율이 90%, 60%, 25% 및 완전한 광조사)가 그 광합성 특성 및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완전한 광조사 조건에서 Ardisia violacea의 순 광합성 속도(P n ), 기공전도도g s )의 일일 변화 곡선은 모두 '쌍봉형'을 이루며 정오시간에 광합성이 줄어드는 정보침체(midday depression) 현상이 나타났으나, 차광 처리 조건에서는 모두 '단봉형'을 이루었다. 차광율의 증가에 따라, Ardisia violacea의 잎 내 P n 및 겉보기 양자효율(AQY)은 모두 먼저 증가하다가 후에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 LSP) 및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 LCP)은 모두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증산 속도(T r ), 원초 빛에너지 전환효율(F v /F m ) 및 PSⅡ 잠재적 활성(F v /F o ) 등은 모두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차광은 엽록소 총량 및 카로테노이드(Car) 함량의 증가, Chl a/b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차광율이 25%인 조건에서 Ardisia violacea의 지상부근부비율(R/T) 및 비엽중(specific leafweight, LMA)은 모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Ardisia violacea가 다양한 빛환경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적응성 및 가소성을 보였는데 이는 빛은 그 야생종의 멸종위기를 초래하는 주요 제한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제시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868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disia violacea,shade,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chlorophyll fluorescence.,Ardisia violacea,차광,광합성 특성,엽록소 형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