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Diagnosis Model for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Structur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醫學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0258-802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AN, Rui-juan,WU, Shui-cai,LIN, Zhong-zhi,HUANG, Chu-zhong,LIN, Qing-bo,WANG, Pei-ning,ZHAO, Yi-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인식 표현(cognitive performance) 분율과 상관성이 높은 구조 네트워크(structural network)의 위상학적 특성(topological characteristics)을 선택하여 분류 모델을 구축한 후, 정상 노인 및 건망성 경도 인지 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환자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52명의 정상 노인 실험 그룹과 39명의 aMCI 환자 그룹 등 2개 그룹의 확산 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e, DTI) 데이터를 포함하였다. 2개 그룹의 데이터로 구조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분석 방법으로 구조 네트워크 특성을 추출하였으며, 모든 특성과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척도 분율에 대하여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여 인식 표현 분율과 관련성이 높은 특성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해당 특성을 토대로 5종 분류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모델의 분류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정상 노인 데이터에서 18개의 인식 능력과 뚜렷한 관련성이 있는 구조 네트워크 특성을 선택한 결과, 주로 자동화 해부학적 레이블링(automated anatomical labeling, AAL) 영상 스펙트럼의 9개 대뇌 영역에 분포되었으며, aMCI 데이터에서 18개의 인식 능력과 뚜렷한 관련성이 있는 구조 네트워크 특성을 선택한 결과, 주로 AAL 영상 스펙트럼의 9개 대뇌 영역에 분포되었다. 그러나 양자에서 선택한 특성 및 분포된 대뇌 영역은 서로 달랐다. 분류 모델을 평가한 결과,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서열 최소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구축한 모델의 분류 효과는 가장 좋았으며, 특이성 88.46%, 민감성 83.05%, 정확성 85.71%에 도달하였다. 추출한 인식 표현과 관련성이 높은 구조 네트워크 특성을 생물학적 표지 지표로 하고 구축한 분류 모델로 정상 노인 및 aMCI 환자를 분류하여 대응되는 대뇌 구간의 연결성 변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4748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ffusion tensor image (DTI),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graph theory,cognitive performance,classification model,확산 텐서 영상,건망성 경도 인지 장애,그래프 이론,인식 표현,분류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