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복지시설의 입지와 설치제도에 관한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복지행정논총 |
ISSN | 1229-3474,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7-01-01 |
초록 | 인생주기에 대응한 대인복지서비스 증에서 장사복지는 인생을 끝마무리하는 단계인 죽음의 시기에 대응하는 최종복지서비스로서 정부의 복지정책에서 그 비중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인구규모나 사망인구에 비하여 현재 설치ㆍ운영 중인 공설장사복지시설은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사복지시설의 입지 및 설치지역의 제한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완화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장사(葬事)와 관련한 시설의 설치ㆍ조성 및 관리 등이 보건위생상의 위해(危害)를 방지하는 한편 인간복지의 질을 향상시키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사문제에 관련한 그동안의 연구는 주로 국토의 효율적 이용 측면이나 보건위생적인 관리측면의 연구나 생활양식으로서의 문화측면의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그만큼 인간의 복지적인 차원에서의 연구는 희소하다는 말이 된다. 실제에 있어서도 묘지나 화장시설, 봉안시설은 혐오시설이나 비선호시설로 인식되어 입지에 갈등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사복지시설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개념과 유형을 현행 법령에 기초하여 규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장사복지시설의 설치와 관련한 지역을 분석하고 이를 장사복지시설의 설치현황과 연계하여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함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종결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7629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장사복지,시설입지,입지갈등,묘지,화장시설ㆍ봉안시설,최종복지서비스,funeral welfare,facility siting,cemetery,crematory enshrinement facility,last welfare serv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