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편파레이더 강우추정 알고리즘의 국내 적용성 평가: 비슬산 강우 레이더를 위주로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ISSN | 1738-2424,2287-6723 |
ISBN |
저자(한글) | 김길도,구정모,노용훈,유철상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이중편파레이더는 다양한 변수를 관측하여 종합적인 강우정보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강우정보 획득을 위해 JPOLE 알고리즘과 CSU-HIDRO 알고리즘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8월의 호우사상에 관한 비슬산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와 기상청 AWS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JPOLE 알고리즘과 CSU-HIDRO 알고리즘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총 11,372 쌍의 레이더-지상 강우강도 자료를 합성 알고리즘의 문턱값을 기준으로 적합 자료와 부적합 자료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전체 자료와 적합 및 부적합 자료의 레이더 강우강도와 지상 강우강도를 비교하여 평가 지표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알고리즘에서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는 강우추정 관계식은 적합 자료의 결과가 비교적 우수하여 문턱값의 설정이 비교적 잘 되었다고 판단되었다. (2) 수평반사도 및 차등반사도를 이용하는 강우추정 관계식은 상대적으로 부정확한 강우추정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적합 자료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강우추정 결과는 개선되지 않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0975743634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이중편파레이더,레이더 강우추정 알고리즘,JPOLE 알고리즘,CSU-HIDRO 알고리즘,Dual Polarization Radar,Radar Rainfall Estimation Algorithm,JPOLE Algorithm,CSU-HIDRO Algorith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