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Jing-na,JIANG, Peng-fei,KANG, Zhan-zhan,LI, Deng-yun,HUA, Lin-lin,ZHANG, Yang,ZHANG, Shu-xia,ZHANG, De-li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MNSF beta; (Monoclonal nonspecific suppressor factor beta;)는 천연 면역인자이며 생물체의 면역 반응, 스트레스 반응, 세포 분열, 세포 자멸사, 및 핵 이행 등 바이오 과정에 참여한다. 그러나 MNSF beta; 가 돼지에 대한 특이성 보고는 거의 없다. 본문은 전자복제를 통하여 돼지의 MNSF beta; 전장서열(full-length)을 얻고 RT-PCR기술을 이용하여 처음으로 돼지의 비장에서 완벽한 개방열독틀(오픈리딩프레임)을 포함한 MNSF beta; cDNA(GenBank 등록번호:KF77642500) 단일시편을 복제했으며 돼지의 MNSF beta; 핵산 서열과 단백질 서열을 분석하였다. 돼지의 MNSF beta; 유전자 암호 구역에 표달운반체 pEGFP-C1를 삽입하여 진핵 발현 운반체 pEGFP-MNSF beta; 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돼지 배꼽 정맥 내피세포 (SUVEC)에 지질체를 이용하여 재조합 플래스미스를 형질전환 하고 형광기법, Western blot 및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SUVEC 의 돼지 MNSF beta;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시간 형광 정량 PCR를 이용하여 돼지 MNSF beta; 이 서로 다른 조직내에서의 발현 풍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돼지 MNSF beta; 유전자 전체 길이는 402 bp 이고 암호는 아미노산 133 개로 구성되였으며 하나의 엑손을 포함하고 있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돼지 MNSF beta; 는 신호 펩티드가 없는 안정된 단백질이고 HerpUD1(homocysteine-inducibl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ible, ubiquitin-like domain member 1) 및 리보솜 단백질 S3a(ribosomal protein S3a, RPS3a) 로 조성되었다. 돼지 MNSF beta; 와 이미 발견한 18개 생물종의 MNSF beta;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유사성 분석 및 계통수 분석 결과, 단백질 유사성은 모두 91% 이상이고 진화적 거리가 모두 0.05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MNSF beta; 가 여러 생물종에서 높은 수준으로 보존되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형광검측 및 Western blot 결과, 돼지MNSF beta; 가 SUVEC 중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었으며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질과 세포핵내에도 모두 분포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직 발현 패턴 분석결과, 돼지 MNSF beta; 유전자가 매개 면역 관련 조직에서는 많이 발현되었지만 페장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것은 돼지 MNSF beta; 유전자가 생체 면역 반응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493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