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Jun,YANG, Qing-pei,YU, Ding-kun,SONG, Qing-ni,ZHAO, Guang-dong,WANG, Bing |
초록 |
토양 양분의 이질성은 대나무-활엽수림 계면(bamboo and broad-leaved forest interface)의 중요한 특징이며, 잔뿌리의 성장, 회전 및 분해는 토양의 양분 공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대나무-활엽수림 계면의 양분 이질성 형성에 대한 기여도는 아직 불명확하다. 본 연구는 대나무-활엽수림 계면 양측의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수림과 상록활엽수림을 연구 대상으로, 토양 양분(C, N, P) 함량, 잔뿌리 바이오매스와 회전, 잔뿌리 분해 및 양분 회귀 등 지표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 대나무-활엽수림 계면 양측의 죽순대수림과 상록활엽수림의 토양 양분은 현저한 차이가 있다. 죽순대수림의 0 ndash;60cm 토양의 유기탄소(SOC)와 총 질소(STN) 함량은 각각 20.51과 0.53 g·kg ndash;1 이고, 상록활엽수림의 0 ndash;60cm 토양의 유기탄소(SOC)와 총 질소(STN) 함량은 각각 13.42와 0.26 g·kg ndash;1 이며, 전자는 후자보다 각각 34.53%와 50.35% 높다. 죽순대수림 토양의 총 인(STP) 함량은 상록활엽수림보다 25.54% 낮다. (2) 대나무-활엽수림 계면 양측의 잔뿌리 바이오매스, 양분 밀도 및 양분 회귀량은 현저한 차이가 있다. 대나무수림의 잔뿌리 바이오매스는 1201.60 g·m ndash;2 에 달하며, 상록활엽수림의 5.86배이다. 양분 밀도는 각각 591.42 g C·m ndash;2 , 5.44 g N·m ndash;2 및 0.25 g P·m ndash;2 이며, 각각 상록활엽수림의 6.12배, 3.77배 및 3.11배이다. 연간 평균 양분 회귀량은 각각 278.54 g C·m ndash;2 ·a ndash;1 , 2.36 g N·m ndash;2 ·a ndash;1 및 0.11 g P·m ndash;2 ·a ndash;1 이며, 각각 상록활엽수림의 6.93배, 4.29배 및 3.67배이다. (3) 잔뿌리의 계면 양측 토양의 SOC, STN 이질성 형성에 대한 연간 평균 잠재적 기여도는 각각 76.79%와 28.33%이지만, STP 이질성 형성에는 경감 작용을 하며 기여도는 6.17%이다. 상술한 결과는 대나무의 확장은 상록활엽수림의 토양 양분 상황을 변화할 수 있고, 잔뿌리의 서로 다른 양분의 이질성 형성에 대한 기여도는 일치하지 않으며, 토양의 SOC, STN 이질성 형성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