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xic effect of 2,2',4,4'-Tetrabromodiphenyl Ether(BDE-47) on Karenia mikimotoi in the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環境科學 = Marine environmental science |
ISSN | 1007-6336, |
ISBN |
저자(한글) | ZHANG, Xin-xin,TANG, Xue-xi,JIANG, Shuang,YUAN, Meng-qi,LIU, Yan-fen,ZHOU, B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실험적 생태조건에서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인 BDE-47(2,2',4,4 lsquo;-tetrabromodiphenyl ether)이 개체군, 세포, 아세포 등 다양한 생체조직 차원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유해 미세조류 Karenia mikimotoi에 미치는 급성/아급성 독성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1) 농도가 0.009mg/L보다 클 때 BDE-47은 Karenia mikimotoi 개체군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이로부터 BDE-47이 Karenia mikimotoi 개체군 성장에 미치는 급성 독성효과는 뚜렷함을 알 수 있다. 96시간 중간유효농도(EC 50 )는 0.219mg/L이었다. (2) BDE-47 농도가 0.250mg/L인 아급성 독성스트레스 조건 아래, Karenia mikimotoi의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은 처음에는 유도 상승되었다가 그 후로 뚜렷이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P lt;0.05). 글투타티온 S-전이효소(gultathione S-transferases, GST)와 글루타티온환원효소(glutathione reductase, GR) 활성은 점진적으로 약해졌고(P lt;0.05) 환원형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함량은 점차적으로 작아졌다(P lt;0.05). Pearson상관분석을 통하여 글루타티온환원효소는 바이오마커로서 손색이 없음을 발견하였다. (3)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한 결과, BDE-47 농도가 0.250mg/L인 환경에서 18일 동안 스트레스를 받은 Karenia mikimotoi 세포는 팽창되었고 세포내 기질에는 많은 량의 고전자밀도존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큰 공동이 형성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등 세포기관의 파괴도 뚜렷하였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BDE-47은 다양한 조직적 차원에서 Karenia mikimotoi에 급성 독성효과 및 아급성 독성효과를 행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BDE-47 독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BDE-47의 규범화된 사용, 정확한 조작에 이론적 참고정보를 제공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60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2,2',4,4'-Tetrabromodiphenyl Ether,Karenia mikimotoi,population growth,antioxidant system,ultrastructure,toxicity,2,2',4,4'-Tetrabromodiphenyl Ether,Karenia mikimotoi,개체군 성장,항산화 시스템,초미세 구조,독성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