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U, Li-wei,LIU, Jie-yun,TANG, Hong,GENG, Mei-mei,ZHANG, Li-ping,YUAN, Hong-chao,WANG, Jiu-rong,LI, Yong |
초록 |
논밭의 온실기체 배출저감 조치가 쌀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10개의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모작 논밭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각 실험 논밭에서 생산한 쌀의 16가지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중,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은 Agilent Zorbax AAA 분석 칼럼을 사용하고, 전치칼럼 유도체화는 o-phthaldialdehyde(OPA)와 9-Fluorenylmethyl chloroformate(FMOC-CL)를 시제로 하였다. 그 결과, 1) 10개 방법으로 실험한 쌀은 모두 16가지 아미노산을 함유하였고, 질소비료 시비+ 바이오 숯 8 t/hm 2 첨가+ 간혈적 관개(NPK+HBC+IF) 처리 그룹의 아미노산 총 함량은 6,520.7 mg/100g으로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대조 그룹(질소비료 시비하지 않음+ 볏짚환전하지 않음+ 간혈적 관개)에서 획득한 아미노산 함량은 4,338.0 mg/100g으로서 가장 적었다. 대조 그룹 처리에서 획득한 필수 아미노산 백분 함량은 36.8%로서 최고치였다. 볏짚환전하지 않음+ 장기간 침수(NPK+CF) 처리 방법으로 획득한 필수 아미노산 백분 함량은 33.1%로서 최저치였다. 10개 처리 방법에서, 16가지 아미노산 중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은 모두 아스파르트산(aspartate),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아르기닌(arginine)이고, 함량이 비교적 낮은 것은 모두 메티오닌(methionine)이었다. 2)질소비료 시비량이 같을 때, 장기간 침수 처리를 간혈적 관개 처리와 비교하는 경우, 아미노산 총량은 185.1 mg/100g 증가하였고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 백분율은 3% 증가하였으며 글루탐산, 히스티딘(histidine) 및 세린(serine) 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지만, 류신(leucine)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질소비료 시비는 쌀 중의 아미노산 함량을 현저히 제고하고 질소비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아미노산 함량도 증가하고 히스티딘 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4) 질소 공급량이 같을 때, 돼지 똥을 첨가하는 경우, 아미노산 총함량이 286.0 mg/100g 증가하였다. 이는 질소 공급량이 같은 조건에서 돼지 똥을 비료로 사용하면 쌀의 아미노산 함량 증가에 유리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5) 관개 모드가 같을 때, 볏짚환전에 질소비료 시비를 결합하는 경우, 필수 아미노산과 아미노산 총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히스티딘 함량은 비교적 많이 증가하였고, 메티오닌 함량은 다소 감소되었다. 볏짚환전량의 증가에 따라 비필수 아미노산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뚜렷했다. 절반량 볏짚환전(환전량은 3 t/hm 2 )의 경우, 쌀 중의 아미노산 총량의 증가가 가장 많았다. 전체량 볏짚환전+ 장기간 침수(NPK+HRS+CF) 처리의 아미노산 함량은 절반량 볏짚환전+ 간혈적 관개(NPK+LRS+IF) 처리와 거의 비슷했으며,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전자가 후자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볏짚환전과 시비가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6) 바이오 숯 첨가에 질소비료 시비를 결합하는 경우, 쌀의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고 또한, 바이오 숯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볏짚환전, 돼지 똥 첨가 처리와 비교하는 경우, 바이오 숯 첨가가 아미노산 함량 증가에 대한 효과가 가장 현저했다. 이는 논밭의 실제 생산에 있어서 참고적 가치가 있으며 일정한 환경보호 효과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