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nbsp; nbsp;이 연구는 신문 기사에 포함된 과학 개념분석을 통하여 과학이 우리 생활의 어떤 분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 현실의 문제들은 과학의 어떤 분야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학 교육의 방향 및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데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중앙일보를 대상으로 2011년 4월 18일부터 6월18일까지 9주 간 게재된 총 4,621개의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 기사의 50.6%에 과학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과학이 실생활과 동떨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과학 개념이 포함된 신문 기사는 #xFF62;오피니언면 #xFF63;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xFF62;경제면 #xFF63;, #xFF62;기타면 #xFF63;, #xFF62;문화면 #xFF63;, #xFF62;국제면 #xFF63;, #xFF62;사회면 #xFF63;, #xFF62;종합면 #xFF63; 순이었다. #xFF62;오피니언면 #xFF63;은 각 분야의 전문가가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지면으로 과학 지식이 현재의 다양한 분야의 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 요건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신문 기사에 포함된 과학 개념을 교육과정의 과학과 내용 영역 분류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개념이 포함된 과학 영역은 #xFF62;운동과 에너지 #xFF63;분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xFF62;생명 #xFF63;, #xFF62;지구와 우주 #xFF63;, #xFF62;물질 #xFF63;영역 순이었다. 기사에 포함된 과학 개념들이 1개의 과학 영역에만 포함된 경우는 전체의 58.7%, 2개의 과학 영역에 포한된 경우는 28.9%, 3개 의 영역에 포함된 경우는 전체의 10.1%, #xFF62;운동과 에너지 #xFF63;, #xFF62;물질 #xFF63;, #xFF62;생명 #xFF63;, #xFF62;지구와 우주 #xFF63; 4개의 영역에 모두 포함된 경우는 2.3%인 것으로 나타났다. 2개 이상의 과학 영역에 속하는 과학 개념들이 포함된 기사가 전체의 41.3%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한 가지 과학 영역뿐 아니라 다양한 과학 영역의 융합적인 과학 지식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융합형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우리나라에서 시작단계인 융합과학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본연구의 결과 같은 융합 과학의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그 중요성에 대해 인식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