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imulation of the spatial pattern of land use change in China: the case of planned development scenari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UN, Xiaofang,YUE, Tianxiang,FAN, Zem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토지이용변화 연구는 환경의 지속 가능한 발전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공간적 분포 패턴의 변화는 생물지구화학 순환,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토지이용 동적변화 모델 Dyna-CLUE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기획하에서 중국 토지이용변화의 미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시뮬레이션하였다. 토지이용 유형을 크게 6가지로 나눴다. 즉 경작지, 초지, 삼림 지대, 건설용지(Construction land), 수역과 기타 용지 등이다. 구동 요소는 지형지세, 기후, 사회 교통 등 분야를 포괄하였으며, 동적 구동 요소(예를 들어 기온, 강수, 인구 교통 등)에 대하여 미래 시나리오 조건에서의 발전 추세를 고려하였다. 토지이용 유형은 구동 요소 사이와의 정량 관계와 토지이용 유형 사이의 전환 규칙 등을 기반으로, 2020년까지의 중국 토지이용 분포 패턴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2020년까지 중국 동남부, 황화이하이(Huanghuaihai)평원, 쓰촨(Sichuan) 분지 등 지역의 경작지 면적은 증가할 것이며, 동북과 서북 등 농축 추이대(ecotone), 농림 추이대와 사막 가장자리 경작지 면적은 가볍게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낼 것이다. 삼림 지대 면적은 1,417만 9,100 hm 2 로 증가할 것이며, 주로 중국 동북부 및 서남부 등 수열 조건이 좋은 지역에서 발생할 것이다. 중국 초지는 면적상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 중동부, 동남 지역의 초지 면적은 감소할 것이고, 네이멍구(Neimenggu) 중부, 칭하이(Qinghai) 동부, 쓰촨 분지 북쪽 경계 지역과 칭짱고원(Qiangzang gaoyuan) 등 부지면적은 증가할 것이다. 건설용지는 531만 7,600 hm 2 로 증가할 것이며, 주로 중국의 동북 지역에서 발생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7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ina,land use change,spatial model,scenario,downscaling,중국,토지이용 변화,공간적 모델,시나리오,다운 스케일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