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Xiao-lin,PAN, Xiao-jian,XIONG, Zheng-qin,WANG, Jin-yang,YANG, Bo,LIU, Ying-lie,LIU, Ping-li |
초록 |
난징(Nanjing) 지역의 벼-밀 윤작 시스템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농업 관리 조치가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배출 유량(flux) 및 연간 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논밭 관측 데이터로 생물지구화학 순환 모델(denitrification-decomposition, DNDC)이 해당 경작제도에서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DNDC모델로 다양한 환경 요인과 관리 조치가 메탄 및 아산화질소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실험 결과, 대비군과 밀생장철의 메탄 배출량을 시뮬레이션한 편차가 큰 것 이외에, DNDC 모델로 시뮬레이션한 기타 요소의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논밭에서 측정한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상대적 편차의 변화 폭은 7.1%~26.3%이며, DNDC 모델로 직접 환경요소과 주요 관리 조치가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누적 배출로 인한 GWP(global warming potentials)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었다. 모델의 감도를 검사한 결과, 연평균 온도, 토양의 단위 질량, 토양의 유기 탄소, 토성, 토양 pH 등 환경요소가 GWP에 명확히 영향을 주며, 질소 비료 사용, 벼짚 환전량 및 폭기 시간(aeration period) 등 관리 요소가 GWP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벼-밀 윤작 제도에서 온실 기체를 하나의 지점 혹은 영역에서의 배출 규율을 추산할 때 반드시 상술한 영향 요소를 주의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