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Xiaogu,Zhou, Yadong,Zhang, Dongsheng,Hong, Lisha,Wang, Chunsheng |
초록 |
2005년 7월, ''대양 1호'' 해양 조사선으로 태평양에 위치한 중국 다금속단괴 개발지역(polymetallic nodule area)의 동서부지구 내 총 12개 기지에서 소형 저서생물(meiofauna) 샘플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지역에는 총 13개 군집의 소형 저서생물이 있었다. 동부, 서부지구 내 소형 저서생물의 평균 밀도는 각각 (104.4±20.48)개/10cm 2 와 (40.26±25.84)개/10cm 2 였으며, 선충(nematode)의 평균 생물량은 각각 (5.25±0.99)( mu;g.건중량)/10cm 2 와 (1.68±0.77)( mu;g.건중량)/10cm 2 였다. 동부지구 내 소형 저서생물의 평균 밀도와 선충 생물량은 서부지구에 비해 높았다. 선충은 해당 지역의 절대적 우점종으로서, 동부와 서부지구 내 소형 저서생물의 93.13%와 91.36%를 차지하였다. 기타 우점종으로는 요각류(copepod), 다모류(polychaeta), 개형류(ostracoda) 등이 있었다. 소형 저서생물의 밀도는 퇴적물 깊이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는데, 75%이상의 소형 저서생물은 0-2 cm층에 분포하였다. 동부지구의 심층에 서식하는 소형 저서생물의 비율이 서부지구보다 높았다. 환경요소 분석 결과, 조사지역 내 소형 저서생물의 밀도, 선충 밀도, 선충 생물량, 요각류 밀도, 다모류 밀도는 경도, 위도와 뚜렷한 부적 상관(negative correlation)을 나타냈고, 페오피틴(phaeophytin)과 뚜렷한 정적 상관(positive correlation)을 나타냈으며, 퇴적물 내 미생물의 생물량과는 뚜렷한 관련이 없었다. 소형 저서생물의 밀도, 선충 밀도, 선충 생물량, 다모류 밀도는 엽록소a와 뚜렷한 정상관을 나타냈으나, 요각류 밀도는 엽록소a와 뚜렷한 관련이 없었다. 페오피틴은 퇴적물 내 미생물의 생물량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